구글 딥마인드의 알파고 등장 이후 전 세계가 인공지능(AI)이 가져올 신세계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글로벌 기업뿐 아니라 국내 기업들도 인공지능 시장에 발 빠르게 뛰어들고 있다.
국내 최대 메신저인 카카오톡과 검색 엔진 다음을 보유하고 있는 카카오도 메신저와 검색서비스에 인공지능 기술을 연계하고 있다. 아직은 초기 모델에 불과하나 무선주행자동차, 스마트 홈, 사물인터넷(IoT) 등과 연계해 플랫폼으로 확장시킨다는 계획이다.
김재범 카카오 미디어처리파트장은 1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카카오는 음성인식 및 이미지·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영역에 집중해 인공지능 연구를 하고 있다”며 “자동차, VR 등 플랫폼이 등장할 때 음성인식이 가장 중요한 기능을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메신저가 하나의 플랫폼이 될 것이다. 채팅봇 등을 통해 메신저가 포털이나 플랫폼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을 기반으로한 ‘플러스친구’ CJ오쇼핑, GS샵 자동응답 봇이나 집안 가전과 채팅하며 제어할 수 있는 LG전자의 ‘홈챗’ 등도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서비스다. 카카오는 자동응답 응용프로그램(API)을 제공했다.
초기 단계지만 채팅봇(Chatting Bot)처럼 AI와 대화하고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채팅봇은 메신저로 인간처럼 대화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다. 사용자의 질문에 반응하고 뉴스, 날씨, 상품 정보 등을 제공한다. 페이스북, 텐센트, MS 등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퉈 챗봇을 선보이고 있다.
김 파트장은 “인공지능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음성인식, 음성합성, 자연어처리 등”이라며 “웨어러블, IoT 등 디바이스가 작아지고, 화면의 제약이 커질수록 음성기술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인공지능 비서는 사용자와 대화하고 의도를 파악해서 반응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콘텐츠”라면서 “알아듣고 보여줄 콘텐츠가 있어야 하는데 카카오는 메신저와 포털,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모두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를 서비스화한다면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마존 에코는 70% 이상 음악을 듣는데 사용한다고 한다. 음악, 쇼핑 등 AI 비서를 통해 엔터테인먼트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카카오는 지능형 이미지 썸네일 시스템과 꽃검색, 스팸·성인 이미지 및 영상 분류, 음성인식 등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했다. 꽃검색 서비스는 약 90%의 정확도를 기록하고㎾ 있다. 꽃검색은 이용자가 꽃 사진을 찍어 올리면 자동으로 꽃 이름을 찾아주는 서비스로 다음 모바일 앱에 적용돼 있다.
카카오는 국내 최초로 2014년 2월 음성 인식 엔진인 ‘뉴톤’을 개발하고 음성 합성 엔진인 ‘뉴톤 톡’을 공개하기도 했다. 뉴톤은 사람이 말하는 음성 언어를 컴퓨터가 해석해 그 내용을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 변환 시스템(Speech-to-Text system)이다. 카카오는 뉴톤 API를 개방하고 스타트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뉴톤은 다음검색, 다음지도에 적용돼 있으며 뉴톤 톡은 다음 스포츠 음성 캐스터 중계에 적용 중이다.
알파고 이후 AI가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지만 아직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수준은 미약하다. 하지만 개발자들에게는 AI 기술의 발전이 무서운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김 파트장은 “자율주행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고 달리는 자동차 안에서 우리가 운전대에서 손을 떼기 시작할 때 우리 생활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서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은 이제 개발자들에게 전공이 아닌 ‘교양’이 됐다. 오픈 API 등이 공개가 되고 공유되면서 누구나 쉽게 쓸 수 있게 됐기 때문”이라며 “우리도 해외처럼 빅데이터와 오픈 소스 공개를 통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면 저변이 훨씬 넓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