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올여름 코로나19 재유행이 온다면 일 최대 20만명 안팎의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방역당국은 지난달부터 총 2만여개의 코로나19 치료병상을 해제했지만, 재유행에는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 24일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검사소가 한산하다. (사진=연합뉴스) |
|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5일 정례브리핑에서 “만약 (여름철이나 하반기 겨울철에) 재유행이 온다고 할 때 전문가들의 (확진 규모) 예측은 10만~20만명 내외”라고 언급했다. 20만명은 이날 신규 확진자(2만 3956명)의 8배 수준이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치료병상 감축에도 15만~20만명의 일 신규 확진자 대응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앞서 당국은 확진자 수 감소 추세와 일반의료체계로의 전환을 고려해 지난달 18일부터 전날(24일)까지 중등·준중증 1653병상, 중등증 1만 9003병상 등 총 2만 656병상을 지정 해제했다.
지난달 중순 코로나19 병상이 2만 9000여개였던 것을 감안하면 5주 새 약 70%가 일반 병상으로 전환된 것이다. 그럼에도 이날 코로나19 병상 총 8625개 중 17.1%(1476개)의 병상만 사용 중이다. 이중 중증병상 가동률도 전체 1911개 중 16.4%(313개)로 안정적이다.
박 반장은 “병상 감축을 하면서 가장 고려했던 점은 재유행이었다”며 △국가격리 음압병실 △긴급치료병상 등을 이미 확보했고, 올해 말까지는 특히 전체 병상을 비운 거점전담병원 운영이 가능해 하반기 재유행을 무난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반장은 “신종 변이 확산 등을 대비해 긴급치료병상을 더 추가 확보하는 안도 준비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당국은 앞으로도 유행 규모와 병상 가동률, 지자체 의견 등을 고려해 병상 수를 조정할 계획이다. 중증·준중증 환자 병상을 중심으로 긴급치료병상·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거점보유병상 중심으로 유지하고, 중등증 환자는 일반의료체계로 대응하는 것이 조정의 핵심이다. 이와 함께 전국을 수도권·충청권·호남권 등 7개 권역별로 나눠 병상을 공동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세계 각지에서 퍼지고 있는 원숭이두창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해 국내 검사 체계를 확대한다. 구체적으로 전국 시도의 보건환경연구원까지 검사체계를 확대하는 방안이 마련 중이다. 전날 질병관리청은 입국 시 모든 여행객을 대상으로 발열체크와 건강상태 질문서를 작성하도록 방역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