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정유사들의 올해 2분기 실적은 1분기 대비 악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정유사 수익의 척도인 정제마진이 최근 들어 급격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정제마진은 원유를 정제해 나온 휘발유·경유 등 다양한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운임·동력비 등을 제외한 이익을 말한다. 업계에서는 통상 정유사들의 손익분기점을 배럴당 4~5달러로 본다.
정제마진이 배럴당 평균 12.5달러에 달했던 올 1분기 국내 정유 4사(SK이노베이션·에쓰오일·GS칼텍스·HD현대오일뱅크)의 합산 영업이익은 약 1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 2000억원대에서 대폭 개선됐다. 불과 한 분기 만에 영업이익이 1조5000억원가량 급등한 것이다. 하지만 최근 정제마진이 1분기의 절반 수준인 배럴당 6달러대로 손익분기점에 근접하고 있어 정유사들의 실적에 다시 빨간불이 켜졌다.
|
업계에선 정유사 수익에 대한 오해가 횡재세 도입 논의를 부추긴다고 본다. 주유소 휘발유 가격이 오를 때마다 ‘정유사 배만 불린다’는 소리가 나오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약 3주의 시차를 두고 휘발유와 경유 등 국내 석유 제품 가격이 오른다”며 “많은 소비자는 국제유가가 상승할 때마다 정유사들의 이윤도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정유사들은 원유를 전량 수입하고 국내 공장에서 정제 처리해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 제품을 생산한다. 따라서 국내 정유사들의 이윤은 석유 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과 정제시설 운영비, 운반비 등 생산비용을 차감한 정제마진으로 매겨진다. 석유 제품을 다시 해외에 내다 팔아야 하기 때문에 매출의 60% 이상이 수출로 발생한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정유사 석유제품 수출량은 1억2690만배럴로 2020년 1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초과 이윤에 세금을 부과해 정유업체 수익이 줄어들면 공급이 감소하면서 오히려 가격이 오르는 역효과가 발생할 우려도 제기된다. 황 교수는 “우리 정유사들은 조세의 상당 부분을 소비자나 전방 산업에 있는 기업에 전가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만약 정부가 공급가액을 통제한다면 정유업체가 공급량을 줄이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요즘 같은 인플레이션 국면에서 물가 안정에 도움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