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한미 정상의 ‘워싱턴 선언’은 미국이 자국의 핵무기를 운영하면서 타국과 맺은 첫 번째, 유일한 합의다. 아주 특별한 것이다”며 “한미 간의 NCG는 그 자체로 먼저 정착시키고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 다음에 일본과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확장억제 협의나 협력을 하게 될 텐데 아직은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한미일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여름 중에, 9월에 다자 정상회의들이 시작하기 전에 날짜가 잡히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언론에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빠른 귀국 때문에, 또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갑자기 와서 한미일 정상회담이 약식으로 만들어지다 보니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워싱턴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을 하자’ 이렇게 보도가 됐다”며 “사실은 그건 아니다”고 정정했다.
조 실장은 “한미일 정상회담을 하면서 ‘독립적으로 좀 더 가치를 부여해서 제대로 한번 (정상회담을) 해 보자’라고 하는 공감대와 의견 교환이 있었다”며 “이를 바탕으로 해서 우리가 미국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미국 마이크론의 자리를 한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채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조 실장은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그 어느 나라보다도 높은 나라기 때문에 국제 규범에 따른 자유로운 무역 질서를 유지하는 것은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핵심 이익이 된다”며 “이 문제는 신중하고 면밀하게 봐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한일 관계가 강화되며 과거 ‘김대중-오부치 선언’과 같은 ‘윤석열-기시다 선언’이 나올 수도 있냐는 질문에 “참 좋은 일인데 지금 하고 있는 일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조 실장은 새로운 선언이 나올 가능성은 낮지만 “김대중-오부치 선언 25주년이 된 올해 한일 미래 협력을 열어갈 수 있는 청사진을 우리가 만들 수 있으면 참 의미 있는 일일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히로시마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를 언급했는지에 여부와 관련 “우리 국민이 걱정하는 건강과 안전에 관한 일이니까 당연히 대통령이 말씀했고, 의제로서 논의할 필요는 없었다”라며 “이미 한일 양측이 여러 차례 협의를 통해 현장 시찰단이 가서 어떤 활동 할지를 세세하게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시찰단은 직접 확인하기 위해 간 것이라 큰 의미가 있다”며 “대표단 단장은 지난 정부에서 임명한 사람으로서 객관적인 결과를 담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