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모험자본 공급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자본시장의 역할’이란 주제의 세미나에서 “국내 단기유동자금은 지난 7월말 987조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며 “과잉 유동자금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선순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우선 사모시장을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실장은 “사모펀드와 투자일임(사모일임)시장의 빠른 성장에 따라 자산운용시장의 중심이 공모펀드에서 사모일임으로 전환되는 추세”라며 “공·사모 판단기준을 현행 50명에서 100~150명으로 상향 조정하고 대상자도 청약권유 상대방이 아니라 실제 청약자 수를 기준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제 측면도 개선돼야 한다. 황 실장은 “상장주식의 양도소득세 과세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만큼 증권거래세가 축소돼야 하고 장기투자에 대한 우대세율을 적용해야 한다”며 “주식과 파생상품간의 손익통산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올해 일몰되는 비과세 해외주식투자펀드를 2년간 연장하고 투자한도도 연 3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확대해 해외투자를 늘려야 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저성장에 국내 주식시장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달러화가 유입되고 있는 만큼 수익률 제고 차원에서 일본의 해외자산투자 확대 전략을 벤치마크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황 실장은 “해외투자에 대한 수요 확대시 편리한 서비스를 위해선 증권사의 외환관련 업무가 확대돼야 한다”며 “단기 외화자금 거래시장인 외화콜 시장에 증권사를 참여시켜 원활한 외화자금을 조달토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자본시장의 구조조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은행이 부실채권을 시장에 매각할 수 있도록 강한 인센티브 또는 패널티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생상품에 대해선 기본예탁금을 인하하고 장기적으론 폐지해 개인투자자의 진입장벽을 낮춰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