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현지시간) 다이아몬드 전문 애널리스트 폴 짐니스키의 데이터를 인용해 홍콩, 마카오, 대만을 포함한 중화권 지역의 지난해 다이아몬드 매출이 전년보다 3% 감소한 128억달러(약 17조원)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채굴업체(가치 기준) ‘드비어스’(De Beers)의 알 쿡 최고경영자(CEO)는 “신규 주택 소유자 감소, 금 선호 경향, 수년간의 봉쇄에 따른 신규 커플 감소 등으로 중국 내 보석 수요가 위축됐다”고 말했다.
쿡 CEO는 “이러한 요인들이 완화하는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면서도 “솔직히 생각했던 것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본다”고 토로했다. 이어 “다이아몬드를 사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중국 에서 아파트나 집을 구입한 사람들”이라며 “이번 중국 소비자(수요 위축) 문제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다이아몬드 도매업체 ‘주리’(Zuri) 역시 “중국의 천연 다이아몬드 수요는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수량 기준으로 최대 50% 쪼그라들었다”며 “지금은 중국에서 (다이아몬드) 사업을 하는 건 매우 어렵다. 수요가 회복하려면 1년 정도는 더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의 보석 수요 감소는 다이아몬드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제 다이아몬드협의회(IDC)에 따르면 지난해 천연 다이아몬드 나석의 가격은 18% 하락했다. 이는 중국의 수요 감소와 맞물려 미국 소비자들이 천연에서 채굴한 다이아몬드가 아닌 실험실에서 재배해 가격이 더 저렴한 인공 다이아몬드를 선호하는 현상이 동시에 발생한 결과라고 FT는 설명했다.
중국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선 데다, 일명 ‘차이리’라고 불리는 결혼 자금을 모으지 못해 독신을 택하는 젊은이들이 늘어나고 있어 업계 전망을 더욱 우울하게 만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중국 동부 난징시의 25세 자산 관리사는 “경제가 둔화되고 있으며 미래 소득에 대한 기대는 비관적이다. 나는 구입하자마자 가치를 잃는 물건을 멀리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다이아몬드와는 대조적으로 중국 내 금 수요는 증가했다. 중국 금협회(CGA)에 따르면 지난해 금 주얼리 판매량은 전년대비 7.97% 늘어난 706.48미터톤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