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 정권 후반기 분위기 쇄신을 위해 최대 6개 부처에 달할 것이란 이번 개각의 폭은 최소화됐다. 친박(친박근혜)계 정치인 출신(조윤선 내정자)을 중용하고 관료 출신(김재수·조경규 내정자)을 발탁해 관리형 내각으로 향후 안정적 국정운영만을 꾀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는 평가다.
조윤선 내정자는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여가부 장관과 청와대 정무수석 등을 역임, 박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그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 발탁 배경으로 꼽힌다. 4·13 총선에서 낙천했으나 창조경제와 함께 정권의 양대 핵심 국정과제인 문화융성을 총괄하는 문화부 장관으로 화려하게 복귀하게 됐다. 김재수 내정자는 농축산식품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은 정통 관료인 점을, 조경규 내정자의 경우 국조실 사회조정실장 등을 역임하며 주요 국정과제에 대한 조정업무 수행 능력을 높이 평가받았다는 후문이다.
여야 반응은 확연히 갈렸다. 새누리당은 “안정적 국정 운영과 집권 후반기 국정 목표의 성공적인 달성을 위한 박근혜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적재적소의 인사”(김현아 대변인)라고 호평한 반면, 야권은 “각종 의혹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 검증한 사람을 어떻게 국민에게 제시할 수 있는지 납득하기 어렵다”(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며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과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등이 개각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