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 부총리는 2009년 국가장학금 제도가 도입됐지만 실질적인 반값등록금이 실현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가장학금을 받는 대학생이 절반 수준인 상황에서 근본적인 등록금 부담 경감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예산 확보를 위해)최대한 재정당국과 협의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전체 대학(전문대 포함)의 연간 등록금 총액은 12조5000억원이다. 국가장학금은 3조4000억원이 지급됐는데 여기에 약 2조8500억을 지원하면 등록금 총액의 절반을 국가가 지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교육계에서는 대학 재정의 등록금 의존도가 60% 이상인 상황에서 반값 등록금이 실현된다면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다만 재정 투입에 비해 고등 교육의 질을 높이는 효과가 미미하고 등록금 지원을 받기 위해 대학에 진학하려는 수요가 늘어날수 있어 한계대학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대학생들도 반값 등록금은 환영한다면서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등록금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먼저라고 지적했다.
이해지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등록금의 50% 이상을 지원받는 학생이 전국 270만 대학생 중 3분의1에 그친다는 점을 고려하면 반값등록금 예산 추가 편성은 환영받을 일”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반값등록금 정책을 추진하며 등록금 반환에 대한 요구를 외면하는 것은 이미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넘기겠다는 말과 같다”면서 “1년 6개월 이상 지속된 학습권 피해에 대한 등록금 반환 목소리를 무마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