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합동 투자를 통해 국산화율을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계획인데요.
권세욱 기자를 통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앵커 : 정부가 시스템 반도체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요?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시스템 반도체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나 휴대폰의 모뎀칩 등 IT 기기의 두뇌역할을 하는 반도체인데요.
우리나라는 정보저장용인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반면 시장규모가 4배 이상인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는 시장 점유율 3%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시스템 반도체와 반도체 장비에 앞으로 5년 동안 모두 1조 7천억 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인데요.
이를 통해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율은 50%, 장비는 3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정부는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핵심으로 불리는 반도체 설계전문기업, `팹리스`를 육성하기 위해 500억 원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이를 통해 세계시장 점유율 10%가 넘는 스타 `팹리스` 10개를 신규 육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이 밖에 정부는 경기 판교의 테크노밸리와 충북 테크노파크를 연결하는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오는 2015년까지 1만여명의 인력을 키우기 위해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가동한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앵커 : 정부의 연구개발서비스 활성화 방침도 나왔죠?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연구개발서비스업은 기업 등의 연구개발과 관련된 활동을 외부기관이 지원해 주는 일인데요.
정부는 우선 민간의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해서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아웃소싱을 장려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아웃소싱 목표 관리제를 도입하고, 공공연구기관 평가에 아웃소싱 실적을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또 연구기획과 평가 분석 등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오는 2014년까지 관련 인력을 1400명 가량을 양성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석•박사급의 인력 확보가 요구된다는 지적에 따라서 병역특례지정업체 대상에 연구개발서비스업을 추가해 병역특례를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기자 : 정부는 연구개발서비스 기업의 간접비 계상비율을 5%에서 17%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또 직접비 항목에 연구개발서비스 활용비를 새로 만들어 비용 인정 범위도 넓히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현재 인정제로 돼 있는 기업부설연구소 설립제도는 등록제로 바꾸기로 했는데요.
민간 수요의 창출을 위해 일정기준만 충족하면 설립이 가능하게끔 만들었습니다.
이와 함께 신성장동력 분야의 시험인증시장도 확대합니다.
그 동안 관련 기관이 부족해 시험인증시장이 성숙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는데요.
이를 위해 오는 2014년까지 인증품목을 75개에서 150개로, 인증기관은 100개에서 200개로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또 기술보증기금이 실시하는 기술평가에서 연구개발서비스업에 대한 우대등급 적용을 올해 말부터 실시하고, 지식재산서비스업에 대한 세제와 창업지원 등의 법적 근거를 내년 하반기에 마련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