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단 3월 중 첫 보고를 받는다 해도 4월 30일까지가 활동 시한이라 개혁안 마련까지는 시간이 촉박하다. 이 때문에 여권은 연금특위 활동 시한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야권 일각에서는 연금특위 활동 자체를 보이콧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김 의원은 “(여당은) 한 것도 없고, 한 일도 없이 어떻게 (시한을) 연장해달라고 하나”라면서도 “야당도 보이콧하면 연금개혁은 완전히 끝나는 것인데 책임 있는 정당으로서 그렇게 하면 안 된다. 우리 당 의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여야 모두 곧 내년 총선 준비를 앞두고 있어 연금개혁에 소극적으로 임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연금특위는 민간자문위 보고서에 구체적 수치를 빼 달라고 요구하는 등 국회에서 정리된 안을 만들기 전까지는 최대한 여론전을 피하려 하고 있다.
여기에 노동조합 등 이해당사자 단체까지 연금개혁 참여를 촉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이를 둘러싼 혼란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전국민주주의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노총) 등 양대 노총과 300여개 시민단체들이 포함된 기구인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 연금특위를 사회적 합의기구로 전환하자고 제안했다.
회견에 참석한 김 의원은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사회적 합의기구 제안에 대해 “지난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 때처럼 사회적 대화를 통한 타협 방식으로 연금 개혁을 진행하자는 요청에는 공감한다”면서도 “문재인 정부 때에도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연금개혁을 위한 논의를 진행해 개혁안을 만들었으나,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거부하며 개혁이 무산됐다. 별도의 사회적 기구를 설치해 논의를 진행하는 것은 오히려 합의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