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트댄스가 틱톡 지분 일부를 보유하면서 미국 내 사용자 정보 접근 권한은 미 기업에 넘기는 방식으로 미 정부와 합의를 시도하고 있는 것다고 보도했다. 또다른 소식통은 다만 “여전히 수많은 옵션이 협상 테이블에 놓여 있으며 상황은 유동적이다. 틱톡 미국 사업을 통째로 매각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며 “완전 매각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틱톡의 구조조정이 수반될 것 같다”고 전했다.
바이트댄스의 입장 변화는 중국이 최근 내놓은 새로운 규제 방안과 무관하지 않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4일 틱톡의 매각 협상 마감 시한을 오는 15일까지로 정하고, 이후에는 틱톡의 미국 내 영업을 금지하겠다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후 중국 정부는 지난달 30일 우주항공·유전자·드론·양자암호·데이터분석·핀테크 등 다양한 첨단기술은 물론 음성인식·빅데이터 수집 등 AI 관련 기술을 당국 허가 없이 수출하지 못하도록 규제 대상에 추가했다.
틱톡이 보유한 콘텐츠 추천, 텍스트 분석, 음성인식 같은 알고리즘 역시 이번 규제에 새로 들어간 ‘데이터분석을 기반으로 한 개인 데이터 서비스 기술’에 속한다. 관련 기술을 미국에 매각하려면 사전에 중국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얘기다. 중국 정부가 허락하지 않으면 매각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틱톡 인수에 나선 미 기업들은 지분을 남기지 않고 완전히 사들이길 원하고 있고, 시간도 촉박해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현재 MS·오라클·월마트 등이 바이트댄스와 인수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틱톡이 보유한 모든 기술을 포함한 전체 매각 규모는 약 300억달러 수준으로 알려졌다.
가장 중요한 건 미 정부가 이를 받아들일 것인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경우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중국 때리기’ 강도를 높이고 있는 상황에서 틱톡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모니카 크로울리 미 재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지난 8월 14일 행정명령에 따라 틱톡 매각 관련 논의에만 전념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미 정부 관계자들은 여전히 틱톡의 데이터를 중국 정부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며 물러서지 않고 있다.
WSJ은 “틱톡을 두고 미중 간 지정학적 공방이 격화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어느 정도 선에서 만족할 지, 중국은 어떤 입장인지 명확치 않다”며 “매각 절차가 완전히 끝나는 시기는 대선 이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