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단일 기업이 북미 지역에 태양광 핵심 가치사슬(밸류체인)에 놓인 생산 설비를 모두 갖추는 건 한화솔루션이 처음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연 3.3기가와트(GW) 규모의 잉곳·웨이퍼·셀·모듈을 생산하는 공장을 신설하고 현재 연 생산능력이 1.7GW인 모듈 생산 설비는 추가 증설을 통해 총 8.4GW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
한화솔루션은 우선 미국 조지아주 카터스빌에 총 3조원을 투자, 내년 말 상업 생산을 목표로 각 3.3GW 규모의 잉곳·웨이퍼·셀·모듈 통합 생산단지를 건설한다.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로 이어지는 태양광 핵심 가치사슬 5단계 가운데 원재료인 폴리실리콘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제품을 한 곳에서 생산하는 것이다.
카터스빌은 조지아 주도인 애틀랜타에서 자동차로 약 55분 거리, 기존 모듈 공장이 있는 같은 주 달튼에서 약 33분 거리에 있다. 접근성이 좋아 물류 운영이나 인력 채용이 유리하다. 가치사슬별 생산 설비를 한군데 모음으로써 물류비 절감, 운영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원가 경쟁력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화솔루션은 이와 함께 지난 2019년 모듈 양산을 시작한 조지아주 달튼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을 현재 1.7GW에서 올해 말까지 5.1GW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중 1.4GW 규모 생산 설비 증설을 끝내고, 연말까지 2GW의 생산능력을 추가로 확대한다. 한화솔루션이 내년 말 두 공장의 신·증설을 완료하면 현지 모듈 생산능력은 총 8.4GW로 늘어난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8.4GW 규모의 모듈 생산능력은 실리콘 전지 기반 모듈을 만드는 태양광 업체 생산능력으로는 북미 최대 규모로, 미국 가구 기준 약 13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 가능한 전력량”이라며 “기존 화석연료 대비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은 약 978만톤(t)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
한화솔루션이 미국 내 대규모 투자 결정을 내린 데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IRA가 본격적으로 발효된 올해부터 현지에서 태양광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세액 공제 등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어서다. 한화솔루션은 공장 신·증설이 완료되면 미국 정부로부터 연간 8억7500만달러(약 1조원)의 세금 감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했다. 또 한화솔루션은 이 같은 투자가 마무리되면 미국 내 태양광 사업 연간 매출액이 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
업계에선 김동관 부회장이 북미 태양광 시장에 승부수를 띄웠다고 평가하고 있다. 김 부회장은 지난 2012년 유럽 금융위기 속 파산 신청한 독일 큐셀(현 한화큐셀)을 인수해 2년 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김 부회장의 과감한 투자는 현재 결실로 나타나고 있다. 한화솔루션 내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지난해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61% 늘어난 1조3316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972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한화솔루션은 자금 조달에도 문제가 없다고 자신했다. 신용인 한화솔루션 전략부문 재무실장은 “지난해 말 기준 회사 재무 상황이 양호하고, 연결기준 보유 현금이 2조원 정도 있어 당장 자금을 차입할 필요가 없다”며 “올해 투자해야 할 금액은 1조원 남짓으로, 상당 부분은 보유 자금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 차입할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