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18일 ‘고령화 사회, 경제성장 전망과 대응방향’ 보고서에서 “우리 경제의 고령화 현상은 주요국 가운에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경제 여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이라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시나리오별 전망에 따르면, 남녀 경제활동참가율이 2050년까지 G7 국가 평균 수준에 도달할 경우 2017년 3.1%를 기록한 한국의 성장률이 2021~2030년에 평균 1.7%, 2031~2040년에 평균 0.9%, 2041~2050년에 평균 0.6%로 떨어졌다. 이는 G7 등 선진국의 경우 65세 이후 대부분 은퇴해 경제활동 참가율이 크게 낮아지기 때문이다.
스웨덴과 비슷한 고용 구조로 근접할 경우 한국의 성장률은 같은 기간에 1.8%, 0.9%, 0.7%로 하락했다. 일본의 고용 구조를 적용하면 1.9%, 1.1%, 0.8%로 성장률이 떨어졌다. 경제활동참가율이 줄지 않고 2017년 수준에서 고정되면 2.0%, 1.3%, 1.0%로 하락했다. 하락 폭에 차이가 있지만 어떤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성장률이 1% 안팎으로 고꾸라지는 셈이다.
이 위원은 “고령세대의 노동 참여는 경제성장률 하락을 완충하는 동시에 고령인구에 대한 부양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정한 나이를 고령의 기준으로 삼아 노동시장에서 퇴출하는 정년 제도는 더 이상 사회경제적 발전에 유효한 역할을 못하는 낡은 제도”라며 “정년제 폐지 혹은 근로능력과 의사에 따라 은퇴 여부를 결정하는 유연한 시스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정년 제도 개편에 신중한 입장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청문회 서면답변서에서 “정년연장은 노동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우리 사회의 공감대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신중한 입장을 표했다. 황서종 인사혁신처장은 올해 업무보고 브리핑에서 공무원 정년연장 여부에 대해 “청년실업 등 여러 가지 사회현안이 있어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며 “현 단계에서 정년연장 검토는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