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동력차 중 유형별 판매량은 순수전기차(BEV)가 전년 대비 0.2% 감소한 53만6382대를 기록함, 전체 승용차 판매 비중의 6.9%를 차지했다. 반면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는 17만1805대 판매로 전년 대비 35.7%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수소전기차(FCEV)는 전년 대비 82.4% 감소한 322대 판매를 기록했다.
상반기 미국에서 팔린 전기동력차의 제작사 국적별 비중은 미국계가 66.2%(46만 9279대)로 가장 높았다. 이어 유럽계 13.2%(9만3291대), 일본계 10.4%(7만3411대), 한국계 10.2%(7만2528대) 등으로 나타났다.
|
유럽계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인센티브 요건 강화로 순수전기차(BEV) 수혜 모델이 축소돼 상반기 전체 판매량이 14.9% 감소했고, 판매비중도 전년(13.2%)보다 3.3%p 하락했다.
한국계는 순수 전기차(BEV) 판매량은 전년보다 60% 이상 증가했으나,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출하 감소로 전체 전기동력차 판매량은 46.4% 증가했다. 판매 비중은 지난해 7.4%에서 2.8p증가한 10.2%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BEV는 테슬라 모델Y로 전체 BEV의 35.5%를 차지했다. 2위는 유지한 테슬라 모델3는 1년 전 판매량의 절반 수준에 그치며 판매 비중도 지난해 상반기 19.7%에서 올해 상반기 10.5%로 줄었다.
현대차 아이오닉5(4위), 기아 EV6(10위) , 기아 EV9(11위), 기아 니로(14위), 현대차 아이오닉6(18위)에 오르며 5개 모델이 상위 2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KAMA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와 미국 대선 불확실성 등 여파로 전동화 추진 계획을 늦추거나 축소하는 기업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테슬라는 20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을 2천만대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삭제했으며, 메르세데스-벤츠도 2030년까지 100% 전기차 전환하겠다는 기존 목표를 수정해 그 이후에도 내연기관차 모델을 판매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반면 토요타는 순수전기차(BEV) 투자 뿐 아니라 하이브리드차(HEV) 및 가솔린 차량에 대한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또한 미국 조지아주에 짓는 전기차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하이브리드차(HEV)를 함께 생산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KAMA 관계자는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전기동력차 관련 정책 불확실성과 시장 변동성도 확대될 것으로 보이다”며 “특히 중국산 전기차 관련 소재 및 부품의 관세인상으로 인해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생산원가 부담도 증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독자적인 환경규제와 내연기관 퇴출을 선언하는 주정부가 확대됨에 따라 제작사의 전기동력차 전환은 불가피할 것”이라면서 “다가오는 포스트 캐즘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등 투자 인센티브 제도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