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오이~휘오이' 사려져가는 해녀의 '숨비소리'

50대 이상이 대부분…젊은층 유입없어
배려와 질서의 해녀 공동체 삶 사라지나
해녀학교 설립·유네스코 등재 움직임 일어
  • 등록 2015-06-16 오후 4:03:27

    수정 2015-06-16 오후 4:03:27

해녀가 바닷속에서 채집한 소라 및 전복을 망사리에 담아 짊어 지고 뭍으로 올라오고 있다. 해수부 제공.


[제주=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휘오이~휘오이’

지난 13일 제주도 서귀포시 법환포구. 저 멀리서 휘파람 소리가 고요히 들려온다. 돌고래가 우는 소리처럼 들리지만, 사람이 내는 소리다. 해녀(海女)들이 잠수한 후 물 위로 나와 숨을 고를 때 나는 숨소리다. 약 1~2분가량 잠수한 뒤 내뱉는 ‘숨비소리’는 역설적으로 아름답게 들린다. 수압을 견뎌내느라 삭신은 고장 났지만, 살기 위해 내뱉어야 하는 해녀의 숨소리이기 때문이다.

‘저승에서 벌어 이승에서 쓴다’는 해녀 속담도 해녀의 고달픈 삶을 잘 말해준다. 15~20m 바닷속에 들어가 수산물을 채취하는 해녀의 ‘물질 작업’이 그만큼 위험하다는 얘기다.

제주도 서귀포시 법환포구에 위치한 해녀 학교 실습장. 오른쪽 원형의 인공체험장에서 훈련을 받은 뒤 왼쪽 자연체험장에서 실제로 전복과 소라를 잡는따. 오른쪽 위 구석에는 해녀들이 체온을 유지하거나 잡은 해산물을 구어먹는 불턱이 있다.


사라져 가는 숨비소리…50대 이상이 대부분

힘겹고 고된 일인 만큼 해녀의 물질을 배우는 사람은 급격히 줄고 있다. 해수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제주도에서 활동하는 현직 잠수어업인은 제주시 2485명, 서귀포시 1930명 등 총 4415명만 남아 있다. 1970년 1만 4143명에서 3분의 1수준으로 줄어든 셈이다. 이마저도 대부분 50대 이상으로 고령화됐다. 머지않아 해녀의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여 있는 셈이다.

해녀가 사라지면 해녀가 오랫동안 배우고 만들어온 물질 기술과 공동체 삶도 모두 사라진다. 하지만 그냥 지우기엔 아까운 우리의 소중한 문화다.

해녀 공동체는 배려와 질서의 문화가 살아 숨 쉬고 있다. 일례로 제주도의 각 어촌계에서는 ‘할망바당’이란 게 있다. 앞바다의 수심 얕은 곳은 힘없고 나이 든 해녀의 바다다. 힘 좋고 기술 좋은 ‘상군(上群)해녀’는 좀 더 멀리 깊은 바다에 나가 물질을 한다. 상군 해녀들은 자신이 잡은 전복이나 소라를 나이 든 해녀에게 남모르게 망사리에 건네주기도 한다. ‘게석’이라는 그들 특유의 문화다.

생리하는 해녀는 알아서 물질에 나서지 않는다. 피 냄새를 맡고 상어떼가 몰려오면 해녀 모두가 위험에 처해지기 때문이다. 대신 다른 해녀들이 그날 채취한 해산물을 골라 나눠준다.

강권용 해녀박물관 학예연구사는 “해녀는 수산물 채취를 통해 가정경제의 주체적 역할을 한 여성생태주의자(Eco-Feminist)라고 할 수 있다”며 “여성, 자연, 노약자, 생태계 등 해녀가 가진 가치는 현대 사회에서 더욱 부각되야 한다”고 말했다.

해녀들이 물질할 때 이용하는 붉은색 테왁과 망사리. 깊은 바다에 들어가는 ‘상군(上群)’의 테왁은 다른 해녀보다 훨씬 크다. 해녀들은 깊은 잠수 뒤에 잠시 테왁에 의지해 ‘숨비소리’를 내며 호흡을 가다듬는다.


해녀의 명맥을 잇자…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 움직임

다행히 해녀의 명맥을 잇고, 전통성을 이어나기 위한 움직임이 부단하게 일고 있다.

지난달 23일 서귀포시 법환동에 직업 해녀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해녀학교가 문을 열었다. 법환 잠녀마을 해녀학교는 해녀의 문화를 전수하는 전문 교육 기관이다. 법환마을 해녀 89명 중 52명이 해녀학교 교사다. 현장에서 터득한 생생한 물질 기술과 지식을 직접 전수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수료하면 어촌계에 가입해 일정기간 인턴 해녀 과정을 거친다. 어촌계에서 인정받으면 ‘아기 해녀’로 거듭날 수도 있다.

해녀학교 학생 박은실(32·여)씨는 서울에서 회사를 그만두고 해녀 학교에 왔다. 그녀는 “부모의 반대가 심했지만 내가 직접 해산물을 캐서 먹고 싶다는 생각에 해녀학교에 왔다”면서 “쉽지 않겠지만 잘 배워서 제주도에 살고 싶다”고 말했다.

30년 경력의 강애심(맨 왼쪽) 해녀학교 교장과 이를 전수 받고 있는 박은실(왼쪽에서 세번째) 씨.


정부와 제주도는 해녀문화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 3월 문화재청은 제주해녀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등재 여부는 내년 하반기에 판가름난다.

강 연구사는 “바다 밭 공존의 터전으로 가꾸는 여성생태주의자인 해녀의 가치는 유네스코가 추구하는 가치와 일맥상통하는 만큼 등재 가능성은 90% 이상”이라면서 “해녀의 가치가 높아지고 명맥이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청룡 여신들
  • 긴밀하게
  • "으아악!"
  • 이즈나, 혼신의 무대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