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 등 해외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유료방송 및 지상파 방송에 소비자들이 내는 수신료가 싸기 때문에 저비용의 악순환 구조가 되풀이된다는 뜻이다.
저지불 사회, 방송업계 재원 구조 악화 원인
이시훈 계명대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12일 한국광고학회 주최로 열린 ‘경제활성화와 광고산업’ 세미나에서 “제대로 지불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방송 산업에도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기술력 있는 스타트업을 비싼 값에 인수하는 미국 등 선진국 기업과 달리 우리나라는 스타트업이 개발한 기술을 헐값에 사거나 유사한 것을 만들려고 한다”며 “거의 모든 영역에서 저지불 사회가 만연됐고 저비용의 악순환 구조 또한 되풀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국내 방송 수신료 구조에서 ‘저지불 사회’가 나타난다고 제시했다. 방송 수신료는 KBS 수신료, 유료방송의 시청 수신료처럼 소비자가 방송사나 중계사에 내는 비용을 의미한다.
그는 이 수신료를 ‘직접세’에 비유했다. 직접세 비중이 높은 나라의 정부 재정이 안정적이듯이 수신료 비중이 높은 방송 사업자일수록 경영상태가 양호하다는 논리다.
탄탄한 수신료 수입이 보장돼야 경기에 따른 광고 산업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고 방송 제작의 질도 높아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영국 정보통신 규제기관 오프콤(Ofcom)의 2014년 자료에 따르면 공영방송에 대한 수신료는 연간 기준 한국이 18유로(약 2만2600원)로 징수국중 가장 낮은 편이다. 영국은 146유로, 프랑스가 113유로, 일본이 92유로였다.
유료방송 시청료도 낮기는 마찬가지다. 한국 유료방송의 월간 가입자당 매출(ARPU)은 2012년 기준 10.75달러(약 1만2000원)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한국보다 낮은 나라는 헝가리로 10.67달러였다. 한국은 터키 12.21달러, 슬로바키아 14.18달러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
이 교수는 “유료방송 사용료가 현실화돼야 하지만 최근 4~5년간 저가 결합상품이 등장하면서 유명무실화됐다”며 “저지불 사회의 고착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결합상품은 유무선 통신, 방송(IPTV, 케이블방송) 등을 한 통신사에 가입하면 20~30% 할인 혜택을 주는 통신과 결합된 상품이다.
자구 혁신 노력도 있어야
한편 이날 세미나에 모인 패널들은 지상파 방송사에 중간 광고를 허용하는 등 비대칭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지상파 방송사들이 나름의 자구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던졌다.
이은주 성균관대 경영학과 교수는 “지상파 방송사들의 수익성이 이 정도로 안 좋은지 몰랐고 마음도 아팠다”면서도 “경영이 안좋으면 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기적인 매출을 올리기 위한 부분에 집중하면 마찰만 커질뿐”이라며 “다른 이들의 신뢰성도 잃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