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지역주민들은 국제·대형 행사에 열광적 지지를 보였고 대회를 유치한 단체장에게 아낌없는 찬사를 보냈다. 대형·국제행사를 유치하면 행사장·경기장 건설부터 도로 등 막대한 규모의 사회간접자본이 지역에 투자됐고 이는 다시 지역경제에 재투자되는 선순환 구조로 인식했다. 건설업체들로 대변되는 지역 경제계에서도 국제·대형 행사가 가져다주는 엄청난 효과를 지속적으로 홍보해 왔다. 이는 현직 단체장과 소속 정당에게 꽤 유리한 여론이 형성됐고 `국제·대형 행사 유치=지지율 상승`이라는 공식이 오랫동안 정치권의 정답으로 인식됐다.
대전시와 세종시, 충북도, 충남도 등 충청권 4개 시·도 단체장들 역시 이 달콤한 유혹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역 발전을 촉진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인 세종시 건설 이후에 뚜렷한 공동의 어젠다가 없던 충청권 4개 시·도는 최근 2030 하계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를 선언했다. 특히 36개 종목을 치른다고 가정할 때 현재 대전과 충북, 충남에 있는 경기장을 활용할 수 있고 17개 종목 경기장만 국제 규격에 맞게 신축하면 된다. 이 경우 필요 예산은 1조 2500억원(추정치)으로 4개 시·도가 이를 분담하면 10년 동안 매년 300억~400억원으로 2002 부산아시안게임(3조 2400억원)과 2014 인천아시안게임(2조 500억원)과 비교해도 2분의 1 또는 3분의 1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일회성 행사에 수천억원을 집행하고 그 뒤에 남은 빚은 모두 국민들 몫으로 돌아오는 하얀 코끼리의 덫에 더 이상 빠지고 싶지 않다고 항변하고 있는 것이다. 단체장들은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유치를 재임 시절 최대 치적으로 홍보하기 전에 국민들 삶 속으로 들어가 민생을 먼저 살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