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청천 장군이 이끄는 대한독립군은 중국군과 손을 잡고 대전자령(大甸子嶺)에서 전투를 벌여 일본군 130여 명을 살상하고 장갑차 2량, 박격포를 비롯한 각종 포 8문, 기관총 110자루, 소총 580자루, 탄약 300상자, 피복과 담요 등 군 장비 부속품 2,000여 건, 1개 대대의 1년 치 식량 등 마차 200여 대 분량에 이르는 막대한 전리품을 노획했다. 역대 최대의 전과를 올렸음에도 대전자령대첩은 청산리전투에 비해 덜 알려져 있다. 승리를 이끈 지청천 장군도 청산리의 영웅 김좌진 장군이나 봉오동의 전설 홍범도 장군보다 존재감이 덜한 느낌이다.
1930년대로 접어들며 만주의 독립운동 진영은 암울한 상황을 맞고 있었다. 일제는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켜 주요 지역을 점령한 데 이어 이듬해 꼭두각시 나라 만주국을 세웠다. 일본이 부설한 철도를 지킨다는 명분으로 1905년부터 만주에 주둔해오던 관동군도 대대적으로 증강됐다.
만주가 일본 손아귀에 들어가다 보니 일제의 수탈과 착취를 피해 만주로 건너온 한인들의 삶은 더욱 피폐해졌다. 한인의 지원에 기대고 있는 독립군의 기반과 여건도 열악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위기는 새로운 기회를 낳는 법. 무장독립투쟁 세력은 조직을 통합하고 전열을 정비했다. 북만주에서는 지청천 장군의 한국독립군, 남만주에서는 양세봉 장군의 조선혁명군으로 재편됐다.
이 가운데 가장 큰 전과를 올린 대전자령전투는 1933년 6월 30일 치러졌다. 조선 회령에 주둔하던 일본군 19사단이 길림성 왕청현에 파견됐다가 복귀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한중 연합군은 대전자령에 이르는 계곡 양편에 매복했다. 일본군은 1600여 명이었고 독립군과 중국군은 각각 500명과 2000명 규모였다. 지청천은 공격 개시를 앞두고 병사들에게 이렇게 훈시했다.
“태평령(대전자령)의 공격은 3천만 대한인민을 위하여 원한을 복수하는 것이다. 총알 한개 한개가 우리 조상의 수천, 수만의 영혼이 보우하여 주는 피의 대가이니 제군은 단군의 아들로 굳세게 용감히 모든 것을 희생하고 만대자손을 위하여 최후까지 싸워라!”(지헌모 저 ‘청천장군의 혁명투쟁사’ 중에서)
한중 연합군의 공세를 견뎌내지 못한 일본군은 보급물자를 버려둔 채 도주했다. 아군의 피해는 경상자 4~5명에 그쳤다. 그러나 전리품을 나누는 과정에서 한중간의 갈등이 불거졌다. 그해 9월 독립군이 동녕현성을 공략했을 때 중국은 약속한 지원병을 보내주지 않아 독립군 수십 명이 전사하고 지청천도 부상했다. 10월에는 중국인 부대가 독립군 사령부를 포위한 뒤 지청천을 비롯한 간부들을 구금하고 무장해제에 나섰다.
일제는 1920년 청산리전투 직후 만주 한인을 대상으로 무자비한 보복에 나섰다. 이른바 경신참변(庚申慘變)이다. 이번에는 항일무장투쟁 세력의 근거지를 아예 없애는 작업에 나섰다. 이들 지역 주민을 강제이주시켜 공동화하는 대신 ‘안전농촌’이란 이름으로 집단부락을 만들었다. 만주 한인들은 피땀 흘려 개간해온 농토를 빼앗긴 채 새로운 황무지로 내던져졌다.
6월 30일은 대전자령전투 90주년을 맞는 날이다. 승리의 주역 지청천 장군은 청산리전투에도 참전한 항일독립전쟁의 전설이자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인 광복군의 총사령을 지낸 인물이다. 그의 애국혼을 기리는 동시에 만주 동포들의 희생과 수난도 잊지 말아야 한다.
◇글=이희용 다문화동포팀 자문위원(전 연합뉴스 한민족센터 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