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바이오산업이란 해양생물에서 바이오소재를 개발해 식량·에너지·산업소재·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을 말한다. 스페인 제약회사 파마마가 멍게로부터 항암소재를 개발한 것이 좋은 사례다. 글로벌 시장은 현재 약 7조원으로 2027년에는 11조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하지만 한국은 해양생물 연구역사가 짧은 데다 투자도 상대적으로 부족해 주요국가 격차가 크다. 미국 기술의 75% 수준으로, 일본과 중국보다도 뒤처진다. 미국을 100으로 봤을 때 일본은 84, 중국은 76.4이며 한국은 74.8이다.
먼저 해양바이오 핵심기술 개발과 관련, 해양생명자원 4000종으로부터 항암·향균 등 소재를 확보하고 해양바이오 뱅크를 통해 기업에 바이오 소재를 제공 및 공동연구를 지원한다. 특히 해양바이오 소재의 국산화율이 30% 수준에 불과한 만큼 수입 의존도가 높은 콜라겐 등 6종 소재를 선정해 국산화를 집중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해양바이오 소재의 대량생산, 표준화 등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합성생물학 기반 연구를 확대하고 기업과 공동으로 바이오파운드리(합성생물학 전 과정을 표준·자동·고속화한 시스템)도 도입한다. 버려지는 해조류를 원료로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하고, 심해저 고세균 대량생산을 통한 바이오수소 상용화도 추진한다.
|
기업의 자율적 성장 지원을 위한 방점은 ‘규제개선’에 찍혔다. 산업계, 연구기관 및 정부가 참여하는 ‘해양바이오 규제개선 TF’를 운영해 소재개발, 대량생산 및 표준화, 인증·제품화 등 산업 전단계에 걸친 규제를 발굴 정비할 예정이다. 또 관련 전문인력의 체계적 육성 등을 위한 ‘해양생명자원법’도 개정한다.
조 장관은 “발표한 계획이 차질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관련 과제들에 대해 1년 단위 정책목표를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며 “전략의 성공적 이행을 통해 해양바이오 산업이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 편익을 제공하고 나아가 해양바이오 시장 글로벌 선도국가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