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산업 주도권을 지속적으로 유지, 강화해 나가기 위해서는 인수·합병(M&A)을 적극 활용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전략이 제시됐다.
이근(사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27일 “잠재적 위협이 될 만한 기술이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신생기업을 일찍 인수해야 미래의 위협요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며 “이같은 전략은 신기술을 확보하여 한국기업들의 성장동력으로 삼는 효과도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 이날 한국경제학회·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 회관에서 ‘중국의 추격과 한국 제조업의 과제’라는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 자리에서다.
그러면서 삼성과 유사하게, 기술력에 기초한 제품성능 자체로 승부하려는 화웨이는 샤오미 보다 훨씬 오래된 기업이지만, 정작 삼성을 넘어선 것은 화웨이가 아니라 샤오미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이 교수는 “삼성에 진짜 위협이 되는 것은 삼성과 같은 방법으로 경쟁하려는 후발기업이 아니라고 다른 패러다임을 치고 나오는 후발자가 더 무서운 법”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삼성전자 등 한국기업들은 기존의 제품판매라는 개념에서 이제는 서비스 판매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추세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며 “특히 이와 관련된 시장경쟁의 질적 변화에 대해 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IBM를 비롯 지멘스 등 전통 선진국 대기업들은 제조업과 관련된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바뀌어 가고 있고, 매출의 원천이 점점 서비스 중심이 되어가고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
이날 이 교수는 애플과 중국의 화웨이 및 샤오미라는 경쟁자에 둘러싸여 곤경에 처해있는 삼성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도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우선 애플에 대해서는 애플 방식으로 스마프폰 하나의 전선에서만 싸우지 말고 전선을 넓혀 삼성 방식으로 싸울 것을 강조했다. 삼성은 자신의 강점이 휴대폰 뿐만 아니라 카메라, TV, 복합프린터, 세탁기 등 다양한 가전제품을 만드는 다각화된 기업이라는 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이 교수의 진단이다.
중국기업들에 대해서는 “삼성은 기술력이 아닌 브랜드 파워를 가진 시장의 선점자 및 선발자라는 점을 적극 활용한 ‘방어의 장벽’을 쌓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가령 금전적 이득에 민감하고 계산에 빠른 중국소비자들에게 각종 삼성 제품을 살 때마다 ‘삼성 마일리지’를 제공, 추가적으로 삼성 제품을 살 인센티브를 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삼성 마일리지 제도는 미국시장에서 애플과 경쟁할 때도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한국기업들에 대해서는 “다른 기업이 선도한 혁신에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고민해야하는 상황에 직면해서는 안 되고, 미래의 혁신을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주도해 나가야 한다”며 “혁신을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끌고 가는것 만이 산업주도권을 넘겨줘야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조언했다. 이 교수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는 패러다임 등장 이후에도 계속 주도권을 유지하고 있는 일본의 캐논을 대표적 벤치마킹 사례로 꼽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