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블룸버그 통신 등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관세 부가를 하겠다고 밝힌 이후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성명을 내고,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에 발표했던 500억달러의 4배에 달하는 규모다.
이에 중국 상무부는 “만약 미국이 이성을 잃고 관세 조치를 실행하면 중국도 부득이 수량과 질량 측면에서 상호 결합된 종합적 조치를 해 강력한 반격 조치를 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런데 지난해 기준 중국은 미국에 연 5055억 달러 규모의 수출을 했지만 대중국 수입 규모는 1299억 달러에 불과하다. 중국으로선 미국 제품 수입 규모가 크지 않는 만큼, 미국산 물품에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미국을 강하게 압박하기 어렵다. 이에 중국은 관세 부가 카드보다는 다른 카드로 대미 공세를 강화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알렉 필립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외에 다른 카드를 꺼내들 것”이라며 “중국이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국 기업들을 보이콧 하거나 위안화 평가절하 시도, 미국 국채 매각 등의 카드도 꺼낼 수 있는 카드를 쓸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론 중국도 신중하게 움직이고 있다. 중국이 미국 기업들에만 불리한 규제를 내놓을 경우, 세계무역기구(WTO) 룰을 위반하게 된다. 게다가 이제까지 중국이 유럽이나 다른 신흥국을 향해 주장해왔던 ‘세계화 책임자’라는 위치를 잃게 된다.
다만 상무부 부부장 출신인 웨이젠궈 국제경제교류센터 부이사장은 중국이 꺼낼 수 있는 카드로 미국산 항공기, 반도체, 에너지에 이르기까지 보복관세 부과 대상을 확대할 것이라 전망했다. 또한 관광, 교육 등의 분야에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은 사드(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싸고 한국에 압박을 가할 때 비공식적으로 한국 관광을 차단했고 그 결과 국내 여행 관련 업계가 심각한 침체를 맞기도 했다. 웨이 부이사장은 “이 외에도 미국 기업들을 중국 금융 시장에서 아예 배제하는 전략을 펼 수도 있을 것”이라고도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