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농식품부는 우선 주요 산지에 스마트산지유통센터(APC)를 구축해 생산 및 유통 구조를 효율화 한다. APC는 로봇과 같은 첨단 장비를 이용해 농산물 선별·포장 등 전체 공정을 자동화 한 시스템으로 소비자 요구에 맞는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품 입고에서 출고까지 각종 유통정보가 자동적으로 생성되는데, 이를 통해 시장분석, 재고관리, 출하시기 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가정간편식(HMR)·반가공 등 맞춤형 상품 개발 및 대량구매처를 대상으로 직접 판매가 가능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는 농산물이 전국에 수백개가 넘는 도·소매를 통해 5~7단계의 복잡한 경로를 거치기 때문에 소비자가 원하는 적합한 상품을 연중 대량 공급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홍인기 농식품부 유통정책과장은 “대형유통 플랫폼이 산지까지 들어와서 직거래 하는 등의 유통 비효율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농산물 온라인거래소를 만들어 비효율적인 물류체계도 개선한다. 현재는 거래량이 많은 대도시 도매시장 중심으로 물류체계가 갖춰져 있어, 농산물이 수도권에 주로 집중돼 있다. 이에 일부 지방 도매시장에서는 산지와 가까이 있어도 수도권에 있는 도매시장에서 직접 물건을 떼와 다시 거래하는 역물류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온라인 도매를 통해 거래수수료도 저렴해질 전망이다. 최대 7% 수준인 지금의 위탁수수료를 5% 수준까지, 온라인 플랫폼 사용료는 0.5%에서 0.3%까지 낮춘다는 계획이다.
송품장도 디지털화 한다. 전자송품장 도입해 출하처와 품목, 매매방법, 운송수단 등 출하정보를 디지털화 한다. 농수산물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시장별 출하·구매 예측시스템도 구축한다. 또 전자송품장 활용이 빠르게 정착할 수 있도록 가락시장에서 무, 양파, 배추 등 대량거래 품목부터 시범 실시 한다. 이후 전국적으로 사용을 의무화한다.
일각에서는 고령화된 농촌 인구에 디지털 시스템이 잘 정착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김종구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산지 생산자들은 모든 수확물을 APC에 맡기면 알아서 포장·판매를 해줘서 디지털화에 따른 어러움은 없을 것”이라며 “온라인 도매시장 역시 도매업자 및 운송기사들이 주 대상이어서 직접적 영향은 적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앞으로는 농업인들도 많이 훈련이 돼야 한다”며 “디지털화가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교육도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