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의학원은 김진수·강충모 박사 연구팀이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이같이 알아냈다고 7일 밝혔다.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 증가로 많은 양의 플라스틱 추정 폐기물이 해양에 유입되며, 자외선이나 풍화에 마모된 5mm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이 해양 생물에서 검출되고 있다.
|
그 결과, 위와 장에는 24시간째까지 머무른 후 대부분 빠져 나가간 반면 간에는 초기 1시간째에 비해 48시간째에 5배 늘어났다.
또 쥐의 신체 기관을 빼내 쥐가 먹은 방사성구리·폴리스티렌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감마 카운터로 측정한 결과, 1시간째부터 방사성구리·폴리스티렌이 전신으로 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수·강충모 박사는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미세플라스틱의 몸속 흡수 경로를 확인했다”며 “앞으로 미세플라스틱의 생체 독성 평가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핵의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더 저널 오브 뉴클리어 메디신(The Journal of Nuclear Medicine)’에 지난 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