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진상욱 교수는 “뇌하수체 질환의 국내 발병률은 매우 낮지만, 방치할 경우 신체 외적인 변화는 물론 이차적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널리 알려진 만성질환과 달리, 전문적이고 계획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질환인 만큼, 경험 많은 의료진 선택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뇌하수체 질환의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종양’이다. 뇌하수체로부터의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를 방해해 여러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거나 정상보다 부족하게 분비되도록 한다. 이외에도 종양의 크기가 커지면 주변에 위치해 있는 시신경, 뇌막 등을 압박해 두통과 시야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반대로 호르몬 분비 저하에 의한 질환에는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등이 있다. 호르몬별 역할과 이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를 수 있어 이를 우선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성장호르몬 결핍이 대표적인데, 성장은 물론 혈당·혈압관리, 허리둘레, 근육량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진 교수는 “부족한 호르몬의 종류, 정도 및 진행 속도에 따라 부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여성·남성호르몬에 의한 불임, 성기능 장애 등도 유발하며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며 “진단에는 MRI 등을 활용한 영상의학적 검사와 호르몬 검사가 활용되며, 뇌하수체 종양의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은 수술”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