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이 같은 기류에 변화가 감지된다. 당국과 교감이라도 있었던 것처럼 은행권의 역할론이 급부상했다. 저축은행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결국 그 피해가 은행권까지 돌아온다는 논리에서다. 이는 저축은행 가운데 규모가 큰 곳은 금융지주사가 인수하는 식으로 방향이 모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팔성 우리금융지주(053000) 회장은 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범금융인 신년하례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저축은행 1~2곳 이상의 M&A를 검토하고 있다"며 "우리금융그룹 규모와 인수 후 시너지 효과를 생각할 때 일정 규모 이상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부동산 경기침체와 은행 평판 등을 이유로 저축은행 인수를 꺼리던 모습에서 태도가 확 달라진 것이다. 김승유 하나금융지주(086790) 회장도 "저축은행 시스템 안정을 위해 주요 금융그룹들이 동참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어떤식으로든 해법이 마련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어윤대 KB금융(105560)지주 회장은 "이제부터 부실 저축은행 문제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보겠다"고 밝혔다.
◇ 공동계정 도입..중소형 저축은행 고객 보호 정부가 추진중인 예금보험기금 공동계정 도입안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지주사들 스스로 자신의 역할론을 꺼내드는 마당에 정부가 미적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모가 작은 부실 저축은행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으면 영업정지를 내려 공동계정을 통해 가입자의 예금을 보호해주는 방식이 동원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계정은 은행 증권 보험 저축은행이 예금보험기금중 일정부분을 공동으로 갹출하는 것으로 저축은행 파산에 대비해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예금보험기금 공동계정과 관련, "모든 방안에 대해 깊게 고민하겠다"며 "이미 결심이 섰다"고 말했다.
하지만 감독당국의 분위기는 다르다. 금융위 관계자는 "별 문제 없이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도입방침을 굳혔고 남은 것은 언제 시행하느냐에 달렸다는 것이다.
▶ 관련기사 ◀ ☞우리금융 민영화行 `톨게이트` 하나 더 생기나 ☞[신년사]예보 사장 "저축은행 문제 적극 대처해야" ☞이종휘 우리은행장 "매각가격 차별화가 현실적인 민영화 대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