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이득과세’란 상속시 과세하지 않고 상속받은 자산을 추후 유상으로 처분할 때 피상속인(사망자)과 상속인의 보유기간 동안 자본이득을 합산해 양도소득으로 과세하는 방법을 말한다.
25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간한 ‘원활한 기업승계를 위한 상속세제 개편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높은 상속세율과 까다로운 가업상속공제 때문에 기업승계가 어려워진 창업주들이 한국M&A거래소(KMX) 또는 사모펀드에 회사매각을 의뢰하고 있다고 기술했다.
보고서는 “현행 직계비속에 대한 상속세 최고세율 50%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운데 일본(55%)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라며 “2017년 GDP(국내총생산) 대비 상속ㆍ증여세수 비중도 OECD 국가 중 세번째로 높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은 획일적으로 최대주주에 대해 할증평가를 하지 않을뿐만 아니라영국과 독일 등은 소액주주에 대해 할인평가도 적용하고 있어 한국만 획일적으로 최대주주에 대한 할증평가를 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
이에 따라 자본이득과세가 합리적이라는 주장이다.
그는 “기업승계시 자본이득과세 중 승계취득가액 과세를 적용한다면 과도한 상속세라는 조세장벽을 제거하면서 조세부담의 형평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승계취득가액 과세는 기업승계시 주식이나 자산에 대해서 상속세를 과세하지 않고, 사망자의 취득가액을 승계하여 상속인의 양도시점에서 모두 과세할 수 있기 때문에 원활한 기업승계를 지원하면서 과세공백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아울러 임 위원은 “현행 가업상속공제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한정된 적용대상”이라며 “자본이득과세는 모든 기업에 대해서 적용하고 사전ㆍ사후요건도 대폭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다만 사후관리요건을 위반한 경우 위반시점 기준으로 계산된 이자상당액을 포함한 상속세를 부과해서 조세회피행위를 방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