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한국 로봇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주요국 최하위 수준이라는 분석이 제시됐다. 수요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정작 로봇 시장은 성장을 멈춘 상태란 지적도 나온다.
| 산업용 로봇.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이같은 내용의 ‘글로벌 로봇산업과 한국의 현황’ 보고서를 15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의료·가정·군사 등 산업용과 서비스용 로봇시장으로 구성된 글로벌 로봇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243억달러(약 33조7900억원)로 집계됐다. 이중 한국의 로봇시장은 30억달러(약 4조1700억원) 수준으로, 세계시장의 12.3%에 불과했다.
| 글로벌 로봇시장 현황.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
|
한국 로봇 시장 성장률 역시 2%대로 글로벌 연간 시장 성장률(9%) 대비 침체한 상태였다.
반면 한국의 경우 노동자 1만명당 설치된 로봇 대수를 의미하는 로봇 밀도가 전 세계 1위를 기록, 높은 로봇 수요를 나타냈다. 한국의 로봇 밀도는 932대로 전 세계 평균인 126대를 크게 웃돌았다. 일본(390대), 독일(371대), 미국(255대), 중국(246대) 등 주요국과 비교해도 크게 높았다.
수요가 높지만 한국의 로봇산업 경쟁력은 주요국과 비교해 뒤처져 있다. 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로봇산업 종합경쟁력은 미국, 일본, 중국, 독일, 스위스 등 주요 6개국 중 최하위인 6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보조금 지급, 연구개발(R&D) 비용 100% 공제 등 집중적인 로봇산업 투자를 정부가 주도해 늘리며 글로벌 로봇 기업에 대한 공격적인 M&A를 단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 추월을 본격화하고, R&D 역량 역시 바짝 추격당한 상태다.
| 주요국 로봇산업 종합경쟁력.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
|
로봇 부품 생산 역량을 뜻하는 조달 부분에서도 핵심 부품 조달을 일본에 상당량 의존했다. 한국의 부품 조달 경쟁력 점수는 10점 만점에 6.7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특히 로봇 감속기(61%), 서브모터(65.1%) 등 핵심부품의 대일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기타 필수부품의 경우에도 로봇 가격의 35% 이상을 차지하는 구동부 부품은 국산화율이 15%에 불과했고, 소프트웨어 국산화율도 24%에 머물렀다.
전경련은 국내 로봇 기업이 ‘기업 간 연계’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짚었다. 각 기업이 가치사슬 전 단계를 담당, 비용이 증가하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또한 소프트웨어 인력이 부족해 하드웨어 전문가가 소프트웨어까지 개발하는 등 분업구조가 형성되지 않단 점도 지적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로봇산업은 제조업 경쟁국들이 미래의 산업 주도권을 위해 전략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분야 중 하나”라며 “한국은 부품의 수입 의존도 개선,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 및 산업 내 분업 구조 활성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산업인 만큼 일상 속에서 알지 못하는 기존의 규제들이 서비스 발달에 발목을 잡지 않도록 선제적인 규제 혁신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