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우리 국민께 보다 개선된 발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김근영 한국은행 발권국장)”
|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 화폐수납장에서 열린 ‘자동화금고시스템 설명회’에서 자동화금고시스템이 시연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
|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 한 켠에선 엄격한 보안 속에서 사람 팔 형상을 한 로봇이 5만원권이 가득 담긴 봉지를 넓직한 ‘파레트’(pallet)에 담고 있었다. 5억원 가량이 담긴 봉지를 60회 들었다놨다 하는데 걸린 시간은 약 6분. 300억원 상당의 5만원권 다발이 금고로 옮겨지는 과정이 시연됐다.
한은은 이날 오후 2시반께 취재진 40여명을 상대로 ‘자동화금고시스템’ 시연회를 30여분간 진행했다. 발권국 업무 담당자들이 5조원 규모의 5만원권 다발이 든 봉지를 컨베이어벨트에 올려 놓으면, 자동검수기가 화폐 위변조 여부,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수억원 상당의 ‘팔레타이징로봇’(palletizing robot)이 봉지를 차곡차곡 파레트에 담았다. 해당 파레트는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금고로 옮겨졌고, 금고 내 배치된 무인운반장치(AGV)가 저장선반에 이를 적재했다.
|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 화폐수납장에서 열린 ‘자동화금고시스템 설명회’에서 자동화금고시스템이 시연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
|
한은은 2017년부터 자동화금고시스템을 계획했다. 금고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보안성을 강화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라는 게 한은 설명이다. 자동화금고시스템은 본관 리모델링 사업이 진행되면서 탄력을 받았고, 2020년 구축에 착수해 이번달 8일부터 정식 가동됐다.
자동화 이전엔 화폐를 지게차로 운송·적재하는 등 화폐취급업무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진행됐다. 수작업에 따라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고, 안전 사고가 발생할 때도 있었다.
박완근 발권국 발권업무부장은 “금고적재능력이 30% 가량 늘었고, 전산시스템에 의한 실시간 재고 관리를 통해 금고관리 업무의 효율성이 제고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물리적인 금고출입과 화폐접근을 최소화하고 첨단 CC(폐쇄회로)TV 등 감시장치를 확충함으로써 화폐관리 업무 보안성이 향상됐다”며 “화폐 운반과 적재를 지게차 등을 사용하는 수작업 방식에서 무인운반장치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화폐수급 업무의 안전성이 강화됐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이번 자동화로 발권업무가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돼 국민의 화폐 수요에 보다 충실하게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근영 한은 발권국장은 “화폐 사용이 추세적으로 줄어들고 있지만, 현금 기능이 없어질 수 없다”며 “그렇기에 자동화가 충분히 필요했고, 국민께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10시30분 진행된 자동화금고시스템 가동식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제공) |
|
한편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오전 진행된 자동화금고시스템 가동식에 참석했다. 그는 시스템 개발업체 등에 감사패를 수여하고 구축업무 담당 직원들을 격려하면서 앞으로도 화폐수급여건과 유통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국민의 화폐사용과 경제활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계속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