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질환은 손목과 손가락을 움직일 때 사용하는 근육과 뼈를 지탱하고 있는 힘줄 부위에 염증이 생겨 팔꿈치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통증 발생 위치에 따라 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로 구분한다. 통증 부위가 팔꿈치 바깥쪽이라면 ‘외측상과염’(테니스엘보), 안쪽이라면 ‘내측상과염’(골프엘보)로 진단할 수 있다.
이같은 병명은 각각 테니스와 골프 선수에게서 빈발해 붙여졌다. 하지만 실제 팔꿈치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중 대부분은 스포츠와는 관련이 없다. 손과 손목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반복하게 되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프라이팬으로 요리를 할 때, 걸레를 비틀어 짜는 가사활동이 많은 주부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또 키보드 작업이 많은 직장인, 직업적으로 팔꿈치를 많이 사용하는 노동자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남성보다 근육이 약하고 호르몬의 변화까지 더해진 중년 여성의 경우 팔꿈치 통증이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
테니스 엘보는 손목을 안으로 굽히는 동작을 할 때 통증이 심하다. 주로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느껴진다. 골프 엘보는 주먹을 쥐거나 물건을 잡을 때 통증을 느끼며 팔꿈치 안쪽에 발생하는 통증을 말한다. 두 질환 모두 팔을 과도하게 사용할 때 흔히 발생하지만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도 큰 영향을 끼친다.
고령 인구 증가로 국내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결과 국내 환자는 2014년 55만3261명에서 2018년 65만9228명으로 10만명가량 늘었다.
테니스나 골프, 배드민턴 등 운동을 즐기다가 팔꿈치 통증이 생겼다면 운동을 쉬는 것이 원칙이다. 골프엘보, 테니스 엘보는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회복이 가능한 질환이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휴식이다.
심영기 연세에스의원 원장은 “팔을 앞으로 쭉 편 상태에서 팔꿈치부터 손목 방향으로 1~2㎝ 내려간 부위를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압통점이 있거나, 손목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느껴지면 테니스엘보를 의심해봐야 한다”며 “증상을 방치하면 힘줄 조직이 완전히 재생되지 않아 구조적 변형이 오면서 만성적인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가급적 빨리 병원을 찾는 게 좋다”고 말했다.
두 질환은 초기에 프롤로주사와 스테로이드주사 등 주사치료와 함께 효과적인 힘줄 재생을 위해 체외충격파 등을 병행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롤로주사는 근거가 아직도 확립되지 않았고, 스테로이드 주사는 통증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내성이 생기거나 통증이 다시 재발할 수 있다. 장기간 사용하면 힘줄이 약해져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는 해외 연구결과도 있다.
심영기 원장은 “호아타는 세포 안팎에 쌓여 통증을 유발하는 젖산과 림프슬러지(림프찌꺼기)를 녹여 없애 세포와 근육조직으로의 영양 및 산소 공급을 촉진해 재생을 유도해 통증을 억제하고 재발을 막는 효과도 볼 수 있다”며 “한 번 치료하면 효과가 5~7일간 지속되므로 1주일에 한두 번 간격으로 반복치료를 받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근육 사용을 최소화하고, 찜질 등을 주기적으로 시행하면서, 팔·손목·어깨 부위를 스트레칭해 유연성을 길러주도록 한다. 심 원장은 “적당한 무게의 아령·물병·탄력밴드로 손목관절과 주변 근육을 강화하면 테니스엘보를 비롯한 손목·팔꿈치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치료 후 운동할 때 팔꿈치 바로 아랫부분에 밴드를 착용하면 통증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이 줄어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