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내년 초 민간 전문가 중심 작업반을 구성해 중장기 전략 수립 작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양극화, 저성장, 미래 불안 등 한국 경제를 짓누르는 고질적인 문제를 극복할 해법과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겠다는 취지다.
구체적인 준비 과제는 4개로 정했다. △인구 구조 변화에 대비한 경제·사회 제도 혁신 전략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산업 생태계·과학 기술·교육 혁신 전략 △통상 환경 변화를 미리 준비하는 대외 통상 전략 △양극화와 그에 따른 사회 갈등 심화를 완화할 사회 통합 및 사회 자본 확충 전략 등이다. 계획의 실천성을 높이기 위한 재정 전략도 마련하기로 했다. 중장기 전략 추진에 돈이 얼마나 드는지 미리 헤아리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작업반 연구와 함께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서울·부산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미래 콘서트’를 열고 청년에게 직접 정책 제안을 들을 계획이다. 이후에도 간담회·세미나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하고 내년 지방선거 이후인 하반기(7~12월) 중 완결한 보고서를 내놓겠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에는 미래 전략 전담 부서를 꾸려 중장기 전략 관리·점검 등을 맡길 생각이다.
|
그러나 이 보고서는 결과적으로 빛을 보지 못했다. 대통령 임기를 불과 1년 반 정도 남긴 힘 없는 정부라는 점도 문제였지만, 근본은 ‘세금 폭탄’ 논란에 있었다. 2030년까지 설계대로 복지 투자를 확대하려면 1000조원 넘는 재원과 증세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유승민 당시 한나라당 의원은 “계획대로 정책을 추진한다면 막대한 세금 부담으로 인해 현재의 20대와 30대는 죽었다고 복창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따라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중장기 전략의 관건도 결국 재원 마련 방안과 국민 설득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이날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다주택자 등에 대한 보유세 개편을 검토하겠다”고 공식화했다. 재원을 조달할 증세에 일단 시동을 건 것이다. 정세은 교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수준의 복지 국가로 나아가려면 일정 소득 이상 계층의 비과세·감면을 확 줄이는 등 소득세와 소비세도 건드리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