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이데일리가 베트남 하노이 인터콘티넨탈 랜드마크72 호텔에서 개최한 ‘제13회 국제 비즈니스·금융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에 나선 이시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고령화 등으로 인구 측면에서 베트남의 황금기는 14년 후인 2038년 정도면 종료한다”며 “생산 가능 인구가 줄기 시작하면 성장 모멘텀은 떨어진다”고 말했다.
|
이 원장은 이런 도전 요인을 ‘공통 과제’를 가진 한국과 베트남이 협력해 기회로 만들 수 있다고 봤다. 그가 꼽은 한국과 베트남의 공통 과제는 지정학적 위기 대응, 소재·부품·장비 육성, 디지털·에너지 전환 등이다. 이 원장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양국에 지정학적 위기는 성장 저해 요인이다”며 “한국은 지정학적 위기에 따른 공급망 교란에 대비할 신규 파트너를 모색할 필요가 있고 베트남은 ‘대나무 외교’를 바탕으로 주요국과 최고 수준의 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했다.
이 원장은 첨단 산업·핵심 광물·식량 등 3대 분야 공급망, 디지털 전환도 주요 협력 분야로 꼽았다. 미국, 유럽연합(EU) 등에선 공급망 전반에 걸쳐 보다 엄격한 환경·노동 기준 준수를 강제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EU의 탄소 국경 조정 제도와 공급망 실사법, 프랑스의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원장은 “규제를 직접 적용받는 대상 기업뿐 아니라 공급사, 협력사 모두에게 상당한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고 했다.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선 “디지털 전환은 2045년까지 고소득 산업국가로 전환하려는 베트남의 핵심 동력 중 하나”라며 “초격차 기술 확보 등 세계 최고 디지털 역량 구축을 지향하는 한국과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베트남은 2030년까지 디지털 경제의 GDP(국내총생산) 점유율을 30%로 확대하려 하고, 인건비 상승에 대비한 스마트 제조 기술 도입도 시급하다”고 했다.
넷제로(Net Zero), 방산 등도 협력이 기대할 수 있는 분야다. 이 원장은 “베트남은 최근 제8차 국가전력개발계획(PDP 8) 등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전기차 충전 설비·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태양광·풍력 발전, 생활·산업 폐기물 재활용 등 한국이 강점을 지니는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베트남은 한국이 처음으로 기후협정을 체결한 국가이기도 하다.
또 이 원장은 “한국은 세계 8대 방산 수출국이자 최근 수출 증가율이 가장 빠른 국가다”며 “지정학적 위기에 대비한 상호 안보 협력 차원에서 방산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공적개발원조를 통한 개발 협력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교통 인프라, 보건 위생, 환경, 인적 개발, 공공 행정 개선 등의 분야에서 협력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