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투자금융(IB)업계에 따르면 한국기업평가는 지난 24일 대우조선해양의 회사채 신용등급을 `A`에서 `BBB+`로 강등하고 기업어음 신용등급 역시 `A2`에서 `A3+`로 떨어뜨렸다. 등급 전망은 `부정적 검토`로 두면서 추가 하향 여지를 뒀다. 당초 예상을 크게 상회하는 대규모 손실이 예상되는 등 사업·재무적 펀더멘탈이 손상된 가운데 회계정보의 신뢰성 훼손 등 대외신인도 하락으로 자본시장 접근성이 현저히 저하돼 유동성 대응력도 약화했다는 게 한기평의 설명이다.
NH투자증권은 이를 두고 “사실상 투기등급으로 전락한 것”이라며 지난 2012년 `A` 등급이었던 웅진그룹의 법정관리 이후 우량등급에서 발생한 ‘사실상의 크레딧 이벤트’라고 평가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신용등급은 불과 1년 전만 해도 ‘AA- 안정적’이었다.
지난 15일 해양플랜트와 자회사 관련 대규모 손실 가능성이 제기될 당시 2조~3조원대로 예상됐던 대우조선해양의 손실 규모는 자회사의 실적을 반영하지 않은 개별기준 손실 규모만 이미 3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연결기준으로는 이보다 더 큰 손실이 났을 가능성이 크다. 대우조선해양은 29일 현대중공업(009540) 삼성중공업(010140)과 더불어 2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금리 상승은 곧 기관이나 운용사들이 보유한 채권의 가격이 내린다는 것으로, 이들에겐 매우 민감한 사안이다. 현재로서 가능성은 작다지만 자칫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이 추진되면 신용등급의 추가 강등과 더불어 이들의 손실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 그렇다고 당장 보유한 회사채를 매도하자니 매수주체가 없어 답답한 실정이다.
크레딧업계는 대우조선해양 회사채 보유 기관들의 단기적 손실도 우려스럽지만 더 큰 문제는 조선과 건설로 대표되는 수주산업 회사채 시장 전반에 미칠 영향이라고 지적한다. 가뜩이나 수주산업에 대해 우려의 시선을 보내던 회사채 투자자들이 이번 일을 계기로 시장에서 등을 돌릴 수 있다는 견해다.
한 크레딧업계 관계자는 “수주산업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면서 관련 기업의 회사채 발행 자체가 어려워질 공산이 있다”면서도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전해진 뒤에도 현대중공업과 SK건설이 회사채 발행에 성공한 것처럼 기업간 차별화된 모습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점쳤다.
▶ 관련기사 ◀
☞産銀, 대우조선 실사 착수.."매각 검토 중"
☞반도체 핵심 장비 점유율 세계 1위! 21조 투자 폭발 수혜주!
☞[24일 주요 크레딧 공시]대우조선해양 'BBB+' 강등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