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전체가 원격수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돌봄교육도 ‘긴급돌봄’ 체제로 전환된다. 학교 여건과 돌봄 수요를 고려해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돌봄교실을 운영하고 돌봄교실당 학생 수는 10명 내외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돌봄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는 학교급식으로 중식을 제공해 학부모 부담을 완화하기로 했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조치다. 2단계 격상에도 불구하고 학생들과 교직원 확진자들이 늘어나면서 선제적이고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도권 집단 감염이 시작된 지난 11일 이후 전날까지 수도권 지역 학생 150명, 교직원 43명이 확진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맞벌이 학부모 김모(35)씨는 “2학기부터는 제대로 학교를 보내나 싶었는데 다시 전면 원격수업이라니 막막하다”면서 “연차를 거의 소진해 긴급돌봄을 신청해놨는데 경쟁이 치열하다. 신청은 해놨는데 아직 연락이 안와서 대기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학교에서도 긴급돌봄 예산은 1학기까지 밖에 없다고 하고 2학기 긴급돌봄은 등교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아직 미확정이라고 한다”면서 “모든 것이 불확실하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재택근무를 하면서 교대로 아이를 돌봐오던 학부모들도 9월에는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몰라 고민이라고 털어놨다.
정작 더 큰 문제는 9월11일 이후라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당국에서 명확한 지침을 내리지 않아 학교에서도 학부모들에게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 성남에 거주하는 최모(37)씨는 “1학기 때도 주1회 등교를 했기 때문에 사실상 가지않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아 개학이 연기되더라도 문제는 없다”면서도 “정말 큰 문제는 9월 11일 이후다. 그때 주1회 등교를 할지 전면등교를 할지를 알아야 돌봐줄 사람을 구하고 긴급 돌봄도 신청하는데 모든게 미정이라고 한다”고 토로했다. 이어 “맞벌이 학부모들은 그에 맞춰 미리 아이를 돌봐줄 사람을 구해야 하는데 어느 시간대 구해야 할지 지금으로선 알수가 없어서 너무 답답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