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에 진출하는 외국 기업들은 생산기지뿐 아니라 소비시장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베트남 인구가 9000만명을 넘어 1억명에 육박하는데다 젊은 인구 비중이 높아 소비시장이 충분히 성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미 베트남은 해외 유통기업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일본 에이온은 올해 초 베트남 시티마트와 피비마트를 인수했고 태국계 BJC 역시 지난해 베트남 슈퍼마켓 체인 2위 업체인 독일계 메트로캐시앤캐리베트남을 인수하면서 베트남 시장에 뛰어들었다.
한국 기업으로는 롯데가 지난 2008년 호찌민점을 개점하면서 먼저 발을 들여놨고 이마트는 하노이와 호찌민을 놓고 저울질하다 호치민에 먼저 매장을 열었다.
하지만 이는 그만큼 성장 여력이 크다는 뜻이기도 하다. 실제 고가 제품에 대한 수요는 조금씩 늘고 있다. 베트남 국민의 스마트폰 사용률은 작년 기준 52%로 태국(49%), 인도네시아(23%), 필리핀(15%) 등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를 웃돌고 있다. 하노이 시내에서 고가인 아이폰이나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는 이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자동차 판매도 증가세다. 올해 상반기 베트남에서 팔린 자동차는 10만3500대로 작년 동기 대비 58% 급증했다. 이대로라면 올해 연간 판매대수 20만대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그동안 베트남 국민의 발 역할을 해온 오토바이를 점차 고가의 자동차가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자산이나 소비 노출을 꺼려 금고문화가 강한 베트남인들이 점차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소비에 나서는 것도 긍정적인 변화다. 국내 은행 중 유일하게 현지인 대상으로 영업이 가능한 신한베트남은행은 신용카드 출시 4년 만에 가입자 12만명을 넘겼다. 기업고객은 한국과 베트남 기업이 절반씩인 반면 개인 고객 35만명은 거의 베트남인이다.
JW 메리어트 호텔 행사 담당 지배인으로 한국에서 7년간 유학한 르 퐁 리엔(29세)씨는 “대장금 같은 드라마로 한식에 대한 열풍이 불어 베트남 사람들이 김하고 김치를 아주 좋아한다”며 “설화수를 비롯해 이니스프리, 더페이스샵, 에뛰드 등의 화장품 브랜드와 한국 가전 브랜드도 많이 찾는다”고 말했다.
하노이공립외국어대학 한국어과에 재학 중인 팜 트안 짱(21세)씨는 “한국 드라마 때문에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되고 한국어까지 전공하게 됐는데 이런 이유로 한국어학과에 입학해 공부 중인 학생만 75명에 달한다”며 “젊은이들 대부분이 한국 제품이나 브랜드를 좋아하고 관심이 많다”고 전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