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 아이켄그린(61·사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 교수는 8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향후 글로벌 경기를 결정지을 3가지 해법을 제시했다.
|
올해 상반기 세계경제는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다. 미국은 고용시장 개선 움직임이 뚜렷했고 일본은 엔화약세로 기업 실적이 크게 개선돼 하반기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사들의 QE 축소 발언, 일본 재정건전화,중국 신용경색이 글로벌 경제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실제로 최근 연준 고위인사들의 발언으로 신흥국 증시는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6일에는 리처드 피셔 댈러스 연준 총재가 QE 축소를 지지하는 발언을 하자 아시아 주요 신흥국 증시는 대부분 급락했고 한국 코스피지수도 1900선대이 무너졌다. 피셔 총재는 미국경제가 확실한 경제회생 조짐을 보일 때까지 QE를 유지해야 한다는 대표적인 ‘비둘기파’다.
아이켄그린 교수는 “현재 미국 경기 회복세는 과거 경기회복 국면과 비교하면 아직 약한 편”이라며 “올해 하반기 경제지표는 상반기보다 악화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연준이 연내 QE를 축소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에서는 오랫동안 제기됐던 재정건전화 문제가 또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일본의 올해초 국가부채 규모는 약 997조엔(약 1경1526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250%에 달해 지난해(225~230%)보다도 더 커졌다. 이는 ‘아베노믹스(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총리가 추진중인 경기부양책)’의 결과다.
아베 정부는 지난 7일 중기개혁안을 발표했다. 중기개혁안에는 23조엔 규모의 현 재정적자를 향후 2년간 절반으로 줄이는 방안이 포함됐다. 일본 정부는 이를 위해 현행 5% 소비세율을 내년 4월 8%로 올리고 2015년 10월에는 10%로 더 높이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채 발행 규모도 제한할 방침이다.
그는 소비세율 인상에 대해 “단기 경기에 미칠 파급효과를 생각한다면 5년간 1%씩 올리는게 가장 적절하지만 예정대로 내년 4월에 3%포인트를 올려야 하는 상황”이라며 장기적 안목에서 경기 회복세를 이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중국은 신용경색 완화를 위한 금융개혁에 속도를 내야한다고 주문했다. 아이켄그린 교수는 중국 정부의 금융개혁에 대해 “금리 자유화와 은행 민영화 등 전체적인 방향은 올바르지만 정책 시행 속도가 더디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중국정부가 국내 금융시스템 개혁과 위안화의 완전 태환화폐 전환 등 자본 국제화를 주요 금융정책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며 “이 가운데 우선 순위를 정하고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