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대한골대사학회와 공동연구를 통해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9년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50세 이상 한국인의 골다공증 골절 및 재골절 발생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연구결과를 22일 발표했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양상을 분석했으며 골다공증 골절은 ‘ICD-10 질병코드’와 부위별 의사 행위 청구자료를 기준으로 정의했다.
50세 이상에서 인구 1만 명당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은 2008년 148.0건에서 2011년 180.4건으로 증가한 이후 정체 양상을 보이다 2016년 152.9건으로 감소했다.
골절 부위별로 살펴보면 척추(88.4명), 손목(40.5명), 고관절(17.3명), 상완(7.2명) 순이었으나, 연령대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50대에는 손목 골절이 주로 발생하고 고연령으로 갈수록 고관절과 척추 골절의 발생률이 증가했다.
척추 골절은 인구 1만 명당 2008년 82.5건에서 2011년 99.4건으로 증가한 이후 다소 감소해 2016년에는 88.4건을 기록했다. 여성의 척추 골절 발생이 남성에 비해 2.9~3.2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 골절 발생은 50세 이상 인구 1만명당 2008년 18.2건에서 2012년 20.5건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감소추세로 이어져 2016년에는 17.3건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여성의 고관절 발생이 매해 남성에 비해 2.1~2.3배 정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2008년 21.7건에서 2015년 25.6건까지 증가하다가 2016년에는 23.5건으로 줄었다.
2016년 기준 인구 1만명당 연령에 따른 고관절 골절 발생 건수를 비교하면 50대 2.1건, 60대 6.2건, 70대 30.5건, 80대 108.0건, 90대 187.1건으로 역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했다.
한편 골다공증 골절 발생 후 재골절은 매년 비슷한 비율로 발생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도 줄어들지 않고 계속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골절 환자 1만명 당 재골절은 1년 이내 432건, 2년 이내 1213건, 3년 이내 1880건, 4년 이내 2481건이 누적 발생했다.
척추 골절이 발생한 총 7만2857명 중에서 골절 환자 1만명 당 척추 재골절 누적발생은 남성보다 여성이 많았다.
여성의 재골절은 1년 이내 418건, 2년 이내 1362건, 3년 이내 2182건, 4년 이내 2922건이 발생했고 남성은 1년 이내 363건, 2년 이내 1068건, 3년 이내 1540건, 4년 이내 1951건이었다.
이와 함께 고관절 골절 경험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전체 17.4%였으며 남성이 21.5%로 여성 15.5%보다 1.4배 높았다. 척추 골절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전체 5.7%이며 남성이 10.1%, 여성이 4.3%로 남성이 2.4배 높았다.
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 정호연 교수(경희대학교 내분비내과)는 “골다공증은 골절이 발생할 때까지 별다른 증상 없이 서서히 진행되는 특성이 있어 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은 게 전 세계적인 문제”라며 “골다공증 골절의 예방을 위해서는 칼슘은 일일 800∼1000mg의 섭취를 권장하며, 일차적으로 우유, 멸치, 해조류, 두부 등 음식을 통해서 섭취하고 부족하면 영양제 섭취를 추천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