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 달간 166만명이 추가로 감염되는 등 6차 유행 파고 속에 누적 확진자는 2000만명을 넘어 2005만 2305명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약 2년 7개월 만에 일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과거와 달리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치명률이 낮아지고 최근 재유행도 점차 사그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델타 변이가 유행하던 지난해 11월 치명률은 1.56%를 기록했지만, 오미크론 변이가 유행인 현재는 0.06%(6월 기준)까지 떨어졌다. 여기에 확산 지표를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도 1.54(7월 3주)에서 1.29(7월 4주)로 떨어지는 등 6차 유행 확산세도 조금씩 둔화되고 있다.
이같은 비판을 의식해 정부는 이날 표적방역이라는 개념을 들고 나왔다. 정기석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장(한림대 호흡기내과 교수)은 표적방역에 대해 “인원이나 시간을 제한하는 일괄적인 규제가 아니라 꼭 필요한 부분에 표적화된 방역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50대에 4차 백신 접종을 권고하는 것 △기저질환자를 데이터화해 그들에게 일일이 안내를 하는 것 등을 예로 들었다.
|
이는 우선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 논란이 된 정치방역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전날(2일)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국회에 나와 문 정부와 방역정책의 대표적인 차이점으로 “(민간 전문가로만 이뤄진)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를 신설한 것”이라고 답했다. 결국 정 위원장을 중대본에 공식적으로 참여시켜 정치논리를 최대한 배제하겠다는 논리로 읽힌다.
정 위원장은 중대본 브리핑 참석에 더해 매주 월요일, 자문위 결과 등을 단독 브리핑한다. 정부 주도의 방역정책 설명의 한계를 뛰어 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실제 정 위원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4차 백신을 다 맞으라는 것 아니”라면서도 “4차 백신의 중요성은 암만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며 50대와 고위험군의 백신 접종을 적극 독려하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