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외교부는 19일 키신저 전 장관이 중국 베이징에서 왕 위원과 만나 대만 문제·우크라이나 전쟁·인공지능(AI)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키신저 전 장관은 이 자리에서 “미국과 중국이 안정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세계 평화와 안정, 인류 복지와 관련이 있다”며 “아무리 힘든 상황이어도 양국은 쌍방 소통을 유지해야 하며, 상대방을 고립시키려는 시도는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또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해야 한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그는 “1972년 발표한 미·중 공동성명 ‘상하이 코뮈니케’에서 엄숙히 약속한 것”이라며 “그것이 흔들리거나 버려지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나는 더이상) 공직을 맡고 있지 않지만 미·중 관계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최근 양측의 관계 개선을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왕 위원은 “키신저 전 장관은 중·미 관계 발전에 역사적인 공헌을 했으며 양국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데 대체할 수 없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대만 독립은 평화와 양립할 수 없으며, 미국이 진정으로 대만 해협의 안정을 원한다면 대만 독립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명백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리 부장은 “미국인 일부가 중국과 중간에서 만나려 하지 않아 미·중 관계가 수교 이래 최저점에 머물고 있다”며 “(양국) 상생 협력의 역사가 왜곡되고 우호적인 소통의 분위기가 훼손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중국과 협력해 양국 정상 간 합의를 이행하고, 양국 군대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다만 미 국무부는 키신저 전 장관이 개인 신분으로 중국을 방문했으며 그의 행보가 미 정부를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키신저 전 장관의 방중 계획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그는 일반 시민”이라며 “미 정부를 대신해 행동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리처드 닉슨·제럴드 포드 대통령 시절 국가안보보좌관으로 활약했던 키신저 전 장관은 1970년대 미·중 수교를 이끌어내 ‘데탕트’(긴장 완화) 시대를 연 핵심 인물로 꼽힌다. 중국에선 지중파인 그를 ‘중국 인민의 오랜 벗’이라고 높이 평가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