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리아 락까 지역을 떠난 난민들이 머무는 한 수용소에서 유니세프(UNICEF) 직원들이 어린이들과 심리치료 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모습. UNICEF 제공 |
|
[이데일리 이재운 기자] ‘탈(脫)중앙화’를 외치는 블록체인 기술이 국제적인 ‘난민 문제’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 국제연합(UN)이 실제로 이런 시도를 추진하고 있다. 갑자기 고국을 떠나 본인에 대한 신원 증명이 어려운 난민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에 이론적으로는 완벽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암호화폐 전문매체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달 1일 UN은 영국의 블록체인 스타트업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협약서가 눈길을 끄는 대목이 바로 유엔난민대책기구(UNHCR)와 유엔개발계획(UNDP)에서의 블록체인 활용 방안이다.
UN의 주요 업무 중 하나가 바로 국제적인 분쟁에 따른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돕고, 동시에 저개발국에 대한 균형 발전을 추구하는데 있다. 특히 난민의 경우, 정치적·종교적 이유 등에 의해 긴급하게 피난길에 오르면서 제대로 된 신분증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다. 해당 국가에 신원 확인을 요청하려 해도 난민 본인이 위험에 처하게 되거나, 혹은 확인을 거부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잘 알려져있다시피, 데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나눠 데이터 전송 참여자들이 분산 저장하는 방식이다. 개별 조각들을 나눠서 보관하기 때문에 각 참여자는 정보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런 특성을 고려할 때, 세계 시민들의 신원 정보나 기본적인 금융 정보를 블록체인 형태로 보관해도 안전하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긴급히 자국을 떠난 난민에 대해 신원을 확인하기에는 손색이 없다.
물론 실제 구현에는 어려움이 많다. 모든 참여자에게 공개되는 ‘개방형(퍼블릭) 블록체인’에 모든 이들의 개인 신상정보를 올린다는 건 아직 현실성이 떨어진다.
그렇다고 UN이 운영하는 폐쇄형(프라이빗) 블록체인을 활용할 경우 각 국 정부가 자국민 정보를 넘겨야하는데, 이 또한 여러 문제가 얽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일단 시도를 하다보면 대안이 나올 수 있다는 차원에서 UN은 관련 시도를 이어가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UN은 이미 15가지의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중 여러 프로젝트가 저개발국 대상 사업이다. 기존 인터넷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은 곳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은 편이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금융 인프라가 취약한 곳일수록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높다. 단순히 안전 자산이라서가 아니라, 금융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 미국 뉴욕 소재 UN 본부 전경. UN 홈페이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