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영 신한카드 빅데이터 R&D본부장(상무)은 최근 기자와 만나 빅테크와 경쟁하는 시대에 카드사 경쟁력을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시장이 열리면서 빅테크도 고객의 카드결제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됐지만, 장 본부장은 “카드사의 빅데이터 수준을 따라오기 힘들다”고 힘줘 말했다.
신한카드는 2014년 업계 최초로 빅데이터센터를 만들어 2000만명이 넘는 고객의 결제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지난 3월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업계 첫 빅데이터연구소 인증도 받았다. 신한금융그룹 내에선 ‘빅데이터 후견인’으로 그룹의 데이터 기반 미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조직을 이끌고 있는 장 본부장은 “카드 결제 정보는 생활 밀착형이라는 점에서 빅테크는 물론 예·적금, 대출 등 은행 정보 대비로도 경쟁력이 있다”며 “과거 소비 생활과 소득 등 신용도를 바탕으로 미래 소비 행태를 예측할 수 있는 ‘행태 정보’를 분석하고 있다”고 했다. 이러한 정보를 얼마나 많이 보유하는지, 분석을 잘하는지가 마이데이터 시대에서도 경쟁력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기존 고객에게 더 적합한 카드 상품을 추천하는 금융 중개 업무가 대표적인 예다.
다음은 장 본부장과의 일문일답.
|
△신용 관련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빅테크는 고객이 무엇을 소비했는지 알 수는 있지만, 향후 얼마만큼 소비가 가능할지는 파악할 수 없다. 소득과 신용 정보가 없기 때문이다. 고객이 무엇을 사는지도 중요하지만 얼마만큼의 소비 ‘여력’을 가졌는지가 더 중요하다. 고객의 행위 예측이 가능해서다. 카드 정보의 가장 큰 강점은 직업과 신용 정보, 리스크 메니지먼트(위험 관리 분석)를 통해 고객의 경제여력을 추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이데이터 사업을 통해 빅테크가 카드 신용정보도 활용할 수 있지 않나.
-은행 대비 카드사의 강점은.
△생활 밀착형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은행은 자산관리에 강점이 있다. 하지만 예·적금이나 대출이 빈번히 일어나는 게 아니다. 카드사는 결제, 즉 소비생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생활과 밀접하기 때문에 카드사가 운용하는 마이데이터 플랫폼에 더 자주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
-신한카드만의 강점은.
△데이터 분석 역량이다. 우선 금융데이터를 가장 잘 분석하는 인프라와 인력을 확보했다. 지난 3월엔 업계 처음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빅데이터 모델링, 인공지능(AI), 지불결제 연구개발 등을 위한 기업부설연구소(빅데이터연구소) 인증도 받았다. 이번 인증으로 연구인력 인건비 20%를 정부에서 지원받는데, 이를 통해 더 많은 투자에 나설 수 있게 됐다.
-회사의 이러한 역량으로 고객은 이익을 얻게 되나.
|
△그룹은 2020년 3월 ‘디지털 후견인제도’를 도입했다. 은행, 카드, 금융투자, 보험 등 그룹의 주요 4개사 중 디지털 부문별 역량이 가장 뛰어난 회사를 정해 그룹 계열사의 해당 역량을 상향 평준화하는 업무를 위임한 제도다. 그 가운데 신한카드는 빅데이터 후견인으로 선정됐다. 현재는 신한카드가 초창기 진행했던 데이터 표준화 작업을 그룹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데이터 표준화 작업이란.
△일종의 ‘색인’ 작업이다. 계열사들은 각사만의 방식으로 정보를 정리하고 있다. 은행이 보는 관점, 증권사가 보는 관점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룹 차원에선 이 정보들을 한번에 관리하기가 어렵다. 신한금융만의 통일된 방식으로 정보 분석이 가능하도록 작업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 작업이 끝나면 고객 입장에선 더욱 정교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향후 신한카드 빅데이터 조직의 발전 방향은.
△업계 처음으로 빅데이터센터를 신설한 2014년 이후 회사 내에선 크게 세 단계로 발전해 왔다고 보고 있다. 2014~2016년이 1단계, 빅데이터 경영체제를 도입하고 인프라 구축 및 역량 강화에 나선 시기다. 2단계인 2017~2018년엔 영업지원을 본격화하고 빅데이터 플랫폼 등 제반 인프라를 고도화했다. 2019년 이후 현재까진 내재화한 역량을 기반으로 초개인화 마케팅을 구축하고 마이데이터 등 데이터 신사업에 나서고 있다. 4단계에 이르러선 ‘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하고 데이터 수익화를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