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씨는 지인과 짜고 외국 항구에 정박 중인 원양 어선에 일부러 불을 질렀다. B씨는 사고 전 화재 보험 담보액을 6배나 올리고, 현장에 없었다는 알리바이까지 만드는 등 치밀한 계획으로 화재 보험금 600만 달러(약 68억원)를 타냈다.
지난해 보험 사기 적발액이 8000억원에 육박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내 보험 사기는 2009년부터 벌써 9년째 역대 최고 적발액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고령층을 중심으로 가짜 질병 진단·장해 등을 통한 보험금 청구 사기가 많아지고, 보험사도 보험금 지급 심사를 깐깐하게 하는 등 사기 대응을 강화해서다.
작년 보험사기 적발액 8000억…역대 최고
|
보험 사기는 금감원이 통계 집계 기준을 바꾼 2009년 이후 해마다 역대 최대 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 2009년 3367억원에서 2014년 5997억원, 작년 약 8000억원으로 적발액이 매년 수백억 원씩 늘고 있다.
유형별로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장기 손해 보험 사기 적발액(3561억원)이 지난해 약 17% 급증하며 전체 적발액 증가를 견인했다. 질병·상해·실손 보험 등에 가입해 허위·과다 진단이나 장해 등을 이유로 보험금을 청구했다가 덜미를 잡힌 사람이 많아졌다는 얘기다.
고령층·보험설계사 가담 보험 사기 ‘껑충’
|
눈에 띄는 점은 고령층 보험 사기의 증가세다.
반면 30~50대 보험 사기 적발자는 작년 7만9179명으로 2년 전보다 5%(3833명) 줄며 전체 연령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6년 70%에서 지난해 67%로 감소했다.
금감원은 최근 보험 사기가 조직화·대형화하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보험을 잘 아는 보험 설계사와 자동차 정비 업체 직원 등이 사기를 주도하는 경우가 부쩍 많아졌다는 것이다. 실제 작년 보험 사기 적발자 중 보험업 모집 및 정비업소 종사자는 모두 2366명으로 2년 전보다 440명 늘었다.
보험사기 늘면 보험료 인상 우려
보험은 계약자 다수가 십시일반 보험료를 모아서 미래의 위험에 대비하는 일종의 ‘계’와 같다. 따라서 거액의 보험금을 가로채는 보험 사기가 늘어나면 다른 계약자의 보험료가 오를 우려가 있다. 국민건강보험이 보장하는 급여 항목의 보험금 허위 청구는 정부의 재정 누수로도 이어진다.
금감원이 지난해 보험연구원에 의뢰한 연구 용역에 따르면 민간 보험의 전체 보험 사기 추정액은 적발액의 7배가 넘는 약 6조2000억원(2017년 기준)으로 추정됐다. 금감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공영 보험의 보험금 누수액 추정을 위한 2단계 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박 부국장은 “금감원은 보험 사기 취약 부문 기획 조사, 보험 사기 인지 시스템 지능화 등을 통해 보험 사기를 근절하도록 총력 대응할 것”이라며 “보험 사기를 알게 되면 금감원이나 보험사 사기 신고 센터에 적극적으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