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감정원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6월 셋째주(17일 기준) 송파구 아파트값은 전주(0.00%) 대비 0.01% 올랐다. 송파구 아파트값이 상승으로 바뀐 것은 지난해 10월 셋째주 이후 35주 만이다. 한주 앞서 0.02% 상승으로 전환한 강남구는 이번주 동일한 상승폭(0.02%)을 기록했다. 서초구는 35주 만에 하락을 멈추고 보합(0.0%)으로 전환했다.
이들 지역은 지난해 9·13대책 이후 전고점 대비 3억∼4억원 이상 떨어졌던 재건축 단지가 급매물 소진으로 상승 전환하고 일반 아파트도 시세 수준에서 매매가 이뤄지면서 하락세를 멈췄다는 게 감정원측 분석이다. 다만 강동구는 구축 아파트 위주로 하락을 이어갔지만 낙폭은 전주(-0.08%)에 비해 줄어든 -0.06%를 기록했다.
강남권에 촉발된 반등 분위기는 빠르게 서울 전역으로 번져나가고 있다. 지난해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주역 중 하나인 마포구도 작년 11월 첫째주 이후 보합과 하락을 반복하다 32주만에 상승으로 전환했다. 전주(0.00%) 대비 0.01% 올랐다. 같은 기간 양천구와 구로구도 보합에서 0.02% 상승으로 전환했다. 이로 인해 서울 전체 아파트값도 지난주(-0.01%) 보다 하락폭이 커지지 않고 동일한 낙폭을 유지했다.
서울 아파트 값이 출렁이면서 정부가 추가 부동산 규제책을 꺼낼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은행이 올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부동산 시장의 추가 자금 유입이 우려되는데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집값 안정화’라는 명운이 걸려 있어 정부로선 마냥 지켜볼 수만은 없는 입장이다.
재건축의 경우 이미 사업의 첫 관문인 안전진단 기준을 강화했지만, 추가로 사업 허용 연한을 현행 30년에서 40년으로 강화할 수 있다. 또 민간의 분양가 상한제를 확대하거나 다주택자의 매매거래에 압박을 줄 ‘주택거래 신고제’ 부활도 추가 대책으로 거론된다.
지금보다 세금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조정대상지역에서 1주택자 양도소득세 비과세 2년 실거주 요건이 3년으로 늘리거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기본 세율에 2주택자 10%, 3주택자 20%)를 지금보다 더 쎄게 물리는 방안 등이 꼽힌다. 함 랩장은 “경제 상황도 좋지 않아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보다 특정 타깃을 대상으로 한 핀셋규제를 고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