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11일 강원도 양양에서 개최한 ‘드레스덴 선언과 통일기반 구축’ 주제의 토론회에서 김용현 동국대 교수는 드레스덴 제안에 대해 “대체로 북한이 당장 받아들이기 어렵거나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것을 나열했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정부는 앞으로 3∼4년 안에 통일 문제와 남북관계에 있어 획기적인 결과를 만들어내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 같고, 김정은 정권은 이 기간을 20∼30년간 자신의 체제를 구축하는 데 있어 기초를 다지는 기간이라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 견해 차이를 좁히지 않으면 박근혜 정부 임기에 특별한 남북관계 성과가 안 나올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양문수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현 정부는 전반적으로 북한에 대해 취할 수 있는 정책 목표와 수단을 너무 크게 잡는다”며 “실제로 할 수 있는 것이 그렇게 많지 않다. 목표와 수단을 좀 낮게 잡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형중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드레스덴 제안 중 상당 부분이 북한의 비효율적인 제도와 정책을 강화하는 식의 제안”이라며 “대표적인 것이 북한 지하자원 개발과 인프라 투자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진 교수는 “지금은 북한이 드레스덴 제안에 반발하지만 5∼6월에 대화 공세에 나올 가능성이 있고 그 국면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가장 중대한 시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중호 한국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은 “드레스덴 제안을 북한이 받을 것이라는데 내기를 걸 수 있다”며 “최근 북한이 매체를 통해 드레스덴 제안을 맹비난하지만, 조국평화통일위원회나 국방위원회 등 권력기관이 나서지 않는다. 북한의 패턴이 바뀌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최근 북한의 포격 등 도발은 오바마 대통령 방한을 앞둔 미국을 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찬봉 민주평통 사무처장은 개회사에서 “드레스덴 구상의 3대 제안은 한반도 통일 준비의 성격을 갖고 있고 북한이 이를 수용한다면 남북협력은 한 단계 격상돼 본격적인 통일 과정을 추동할 것”이라며 “이제 소극적 평화공존론에서 적극적 평화통일론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