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자산 매각?.."가능성 크지 않아"
15일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일본이 지진피해를 복구하는데 적게는 1000억달러(110조원)에서 많게는 3000억달러(330조원) 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천문학적인 복구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은 크게 두 가지다. 해외자산을 매각하거나 국채를 발행해 재원으로 조달하는 것.
우선 일본이 전 세계에 나가 있는 투자자금을 회수해 복구자금으로 쓰는 경우다. 이미 일본은 GDP의 200%에 달하는 부채에 시달리고 있어, 재정적자를 더 늘리기 부담스러운 상태다. 해외자산 매각으로 재원을 조달한다면 재정적자에 미치는 부담을 최소화할수 있다. 이 경우 엔화가치가 올라가 일본 기업과 경쟁 관계인 국내 수출기업에는 호재가 될 전망이다. 지난 1995년 고베지진 당시에도 국외에서 대규모 자금이 본국으로 역송금되면서 엔화가 사상 최고치로 급등한 바 있다.
국내 금융시장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 일본계 주식과 채권 투자자금은 약 7조3500억원(70억달러) 정도다. 외국인 투자규모의 1% 안팎으로 규모가 작아 전부 유출된다 해도 금융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다. 하지만 시장의 변동성이 한층 커질 수 있다는 점이 변수다. 증권가에서는 통상적으로 대규모 자금의 방향이 바뀔 때 시장이 교란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
민간분야에서 300억~400억달러로 추산되는 보험금을 충당하기 위해 보험사들이 미국 국채를 전량 팔더라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미 국채시장에서 일일 신규입찰 규모가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국채 물량보다 많기 때문이다. 기업이 공장 복구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해외 자산을 매각할 가능성이 있지만, 규모가 크지 않아 영항은 제한적이다.
◇ 재정지출 확대해 재원 조달할 듯..국내 수출기업에 부담
현재로서는 일본 정부가 채권 발행 등 재정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가능성이 더 크다. 실제 일본 중앙은행은 14일 15조엔의 긴급 유동성을 시장에 풀기도 했다.
엔저 현상이 현실화되면 일본과 수출시장에서 경쟁하는 우리 IT와 자동차 업종은 장기적으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좀 더 부담을 지더라도 엔화 약세로 수출 기업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어제 시장에서는 일본과의 경합관계 있는 기업들이 큰 폭으로 올랐지만 앞으로 엔화 약세가 전개될 때 그러한 기대감은 서서히 퇴색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일본 정부가 채권을 발행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 정확한 피해규모를 산정할 수 없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