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영경 금통위원은 2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코로나19 이후 한국경제 전망과 통화정책 과제 토론회’에 발표자로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서 위원은 “8월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통화정책 상황은 여전히 완화적”이라며 “거시경제와 금융상황을 균형적으로 보아가면서 추가 인상의 시점과 속도를 정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서 위원은 “유럽중앙은행(ECB), 뉴질랜드, 노르웨이 등처럼 코로나19 이후 주택가격의 상승세가 확대되면서 통화정책 운용시 주택 가격을 명시적으로 고려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 위원은 8월 금리가 인상됐으나 가계부채 증가, 주택가격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서 위원은 “금리 인상 이후에도 가계부채 증가세와 주택가격의 높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이는 자금조달 금리가 여전히 낮은 데다 전세 및 주택 공급 물량 부족 등에 따른 주택 가격 상승 기대심리가 가세한 데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과 같이 자산가격 상승이 신용팽창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경우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율이 목표치를 하회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에 미달하더라도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 “주요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소비자물가에 자가주거비(자기 소유 주택이 제공하는 주거서비스 가격)가 포함돼 있지 않아 체감물가와의 괴리가 지속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주거비 반영도를 현실화하는 방안도 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계청에선 ‘자가주거비 포함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하고 있으나 이는 전세, 월세 등 주택 임차료의 가중치를 늘린 것일 뿐, 자가주거비를 포함한 물가지수는 공표되지 않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이 불평등을 완화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서 위원은 “코로나 위기 이후 재분배 정책으로 ‘소득불평등’ 지표는 하락했으나 자산가격 급등으로 ‘자산불평등’ 지표를 상승했다”며 “통화정책 완화 기조를 조정하게 되면 경제의 불균등 성장을 시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포스트 코로나 이후 고용시장 손실이 잠재성장률의 추가 하락으로 이어져 통화정책을 구조적으로 하락시킬 우려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서 위원은 “규제개혁, 이해갈등 조정 등을 통해 신산업의 발전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