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무원은 상하이 등 주요 도시 봉쇄 조치로 악화된 경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5월 33개 패키지 정책을 발표했는데 하반기 들어서도 경기 둔화 흐름이 나타나자 이달 25일 19개의 추가 대책을 내놓았다. 또한 이달 경기 부양을 위한 이들 정책 강도가 2년전을 넘어선다는 의미다. 많은 경제학자들은 2020년 정부가 코로나19 특별 국채를 1조위안 규모 발행했던 것처럼 올해도 특별 국채를 발행해야한다는 주장을 펼쳤지만 정부는 인프라 투자 등에 지원을 집중했다.
리 총리는 또 “2분기 경제는 예상을 넘어서는 요인의 영향을 받았다”며 “현재 경제 회복의 기초를 다져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지적했다. 리 총리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진 않았지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심리 악화, 부동산 경기 침체, 폭염 및 전력난 등 악재를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중국 정부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는 ‘5.5% 안팎’인데 시장에서는 5%는 커녕 4%도 지키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커지고 있다.
전날 블룸버그통신은 경제학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한달 전 3.9%에서 3.5%로 0.4%포인트(p) 낮아졌다고 보도했다. 경제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는 지난 24일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4%에서 3.6%로 0.4%포인트 내렸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올해 중국 GDP 성장률 전망치를 4월 4.4%에서 7월 3.3%로 조정한 상황이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경제가 2분기 가까스로 위축을 면했지만 7월 지표가 다시 둔화했다”면서 “정챗 입안자들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