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2018년 1월 문 대통령은 ‘국민생활 지키기 3대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2022년까지 연간 자살자 수를 1만명 이내, 자살률 역시 17명까지 줄이겠다고 했었다. 2019년 9월 국무총리 소속 자살예방정책위원회 첫 회의에서 당시 이낙연 총리는 ‘62개 응급실에서 제공되는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후관리를 전국 모든 응급실로 확대하겠다’고도 했었다. 이에 정부는 지난 4년간(2018~2021년)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사업’으로 1099억원을 편성해 1068억원을 집행했다는 게 이 의원 설명이다.
하지만 자살시도 사후관리 응급실을 전국 모든 응급실로 확대하겠다던 정부의 약속과는 다르게 자살시도 사후관리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응급의료기관은 2019년 63개소에서 2020년 69개소, 2021년 8월 76개소로 지난 2년간 14개소만 신규 추가되는 데 그쳤다. 전국 응급의료기관 404개(2021년 8월 기준) 중 자살시도 사후관리사업을 수행한 응급의료기관은 18.8%에 불과했다. 자살시도로 응급실에 내원하더라도 해당 응급실이 사후관리 응급실이 아니라면 퇴원 후 집으로 돌아가야 하는 만큼 자살 예방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의원은 “자살 위기는 정신건강이나 경제, 건강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큼 획일적인 자살예방 서비스 지원에서 개인별 맞춤 서비스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좀 더 현실적인 대안을 조속히 마련하여 자살률 세계 1위의 오명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