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정부의 투명성, 신뢰도에 대한 국제적인 평가가 개선됐다. 지난해 11월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정부신뢰도 조사에서 36개 회원국 중 대한민국이 22위(39%)로 2년 만에 10단계 올랐다. 이는 주요 선진국인 미국, 일본, 프랑스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부패인식지수도 지난해 39위로 2년 만에 12단계 향상돼 2011년 이후 처음으로 30위권으로 다시 진입했다.
코로나19 위기 대처 과정에서 정보의 투명한 공개와 신속한 대응은 정부에 대한 신뢰를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됐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특히 글로벌커뮤니케이션 전문 기업인 에델만이 지난 10일 발표한 정부신뢰도에서 한국의 평가가 지난 1월(51%)보다 16%p 상승한 67%로 나타나, 조사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기도 했다.
특히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민간과 정부의 협력도 활발했다. 마스크 중복구매 확인시스템이나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등 이른바 ‘K-방역’의 대표사례는 국민의 아이디어를 정부가 빠르게 받아들여 실현한 사례로 꼽힌다. 이는 정부가 가지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민간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 결과이기도 하다.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는 지난해 3만 3600건에 달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코로나맵, 마스크앱 등이 있다.
|
아울러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공공서비스도 추진됐다. 임신, 돌봄 등 생애주기상 중요한 계기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한 곳에서 안내받고 신청하는 패키지 서비스도 확대하고 있고, ‘정부24’, ‘정부합동민원센터’, ‘국세·지방세 통합민원실’ 등 온·오프라인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공공서비스를 개편했다. 특히 주민등록등본 등 자주 활용하는 증명서를 스마트폰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전자증명서, 지방세·과태료 모바일 고지·납부 서비스, 모바일 연말정산 등 모바일·디지털 기반의 공공서비스를 발굴했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로부터의 포용적 회복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뉴딜’의 지원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는 설명이다. 의료·금융·환경 등 공공데이터 개방을 서두르고,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오프라인 서비스의 온라인 전환 확대, 원격 현장점검·검사, 영상 민원상담, 계좌개설·대출 등 금융기관 이용 시 전자증명서 활용 확대로 불필요한 방문 축소 등 비대면 공공서비스도 확대할 예정이다.
진영 행안부 장관은 “불확실성이 높고 변화가 급격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기존 방식을 통한 문제 해결이 어렵고 보다 빠른 대처가 중요해져 혁신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며 “그간 국민의 눈높이에서 미흡했던 점도 있었지만, 국민의 관심과 적극적 참여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 수 있었던 만큼, 앞으로도 국민과 함께 미래를 대비하는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