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예됐던 부채 상환이 재개된데다 선진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정상화하면서 이자비용도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앞서 주요 20개국(G20)은 2020년 4월 코로나19로 곤경에 처한 저소득국의 채무상환을 작년 6월까지 유예하는 ‘채무 원리금 상환 유예 이니셔티브’(DSSI)를 출범시켰다.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이 지속되자 G20은 유예기간을 작년 말가지 연장했고, 올해 유예 기간이 종료돼 빈국들을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 등 선진국들이 올해 들어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거란 전망에, 브라질과 러시아 등 주요 개발도상국은 기준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렸다. 그러나 최빈국들의 금리는 물가 상승을 억제하지 못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외국인 자금 유출이 심해지면서 자금 조달 경색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빈국이 만기가 다 된 채무를 갚기 위해 새롭게 빚을 내려고 해도, 이전보다 큰 비용을 떠안아야 하는 것이다.
개발도상국의 연쇄 부도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글로벌은 지난주 스리랑카의 디폴트 가능성을 경고하며 국채 등급을 강등했다. 투자자들이 가나와 엘살바도르, 튀니지 등에 대해서도 같은 우려를 하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데이비드 맬퍼스 세계은행 총재는 “채권 재상환이 다가오는 것은 무질서한 채무 불이행 위험이 증가하고 있단 의미”라고 강조했다.
그린스펀 사무총장은 “우리는 자본시장에 대놓고 공개적으로 채무 문제가 있다고 얘기하는 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있다”며 “민간 자본시장이 이를 안 좋게 보기 때문에, 최빈국으로선 이같은 방법을 선택하기 어렵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