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혼게이자이신문은 9일 ‘검증 코로나 위태로운 통치’ 시리즈 1편으로 ‘11년 전 교훈을 방치한 채 보신주의에 따진 관료사회 때문에 코로나 대응이 늦어졌다’는 제목의 기사를 냈다.
이 기사에서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공언한 하루 2만건 PCR 검사능력이 아직도 확보되지 못한 이유로 감염증법 15조에 따른 ‘적극적 면역조사’를 들었다. 일본은 이 법 조항에 따라 코로나19 검사 대상을 정했다. 문제는 그 대상이 매우 한정적이었다는 것이다.
후생노동성(우리나라 보건복지부 격) 산하 국립감염증연구소가 올해 1월 17일 발표한 코로나19 ‘적극적 면역조사실시요령’(지침)에 따르면 적극적 면역조사 대상에는 ‘환자’와 ‘농후접촉자’만 포함됐다. 이에 대한 비판이 잇따르자 2월 6일이 되어서야 ‘의심증상자’가 추가됐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검사 결과가 양성이 나올 개연성이 높은 경우, 적극적인 면역조사 대상이 되어도 좋다’라는 전제가 깔린 상황에서다. 이후 5월 29일 또 한 차례 지침이 바뀌었지만 이 방침은 바뀌지 않았다. 전국 각지 보건소는 이 지침에 따라 농후접촉자 등을 중점으로 검사를 실시했다.
닛케이는 면역조사 대상 외에는 검사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 속출하면서 “대도시 중심으로 경로 불명의 환자가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닛케이는 이는 11년 전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유행 당시에도 벌어진 일이었다고 지적한다. 당시에도 PCR 검사는 감염지역에서 들어온 귀국·입국자들에 한해 집중적으로 실시됐다. 어느샌가 국내서 감염이 퍼져 나갔고, 간사이 병원은 의료 붕괴 위기에 놓일 뻔했다.
당시 후생성은 신종 플루 대응과정에서 부족했던 점을 보아 ‘백서’를 만들었다. “보건소의 체제강화”, “PCR검사 체제 강화”, “대응책을 여러 시나리오로 만들어 대응 강화”, “위기관리의 전문가 체제 강화” 등이 들어갔다. 후생성은 이같은 점을 ‘반성’하며 “사망률이 낮았던 것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의 대책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실제로는 어떠한가. 닛케이는 “만족하는 것에 끝났다”고 일침한다.
닛케이는 이같은 후생성의 소극적인 태도의 이유로 보신주의를 꼽는다. 후생성에서 이런 감염병 대책을 맡은 것은 결핵감염증과(科)이다. 이과출신에 의사자격증을 가진 기술관료로, 정책을 마련하고 실행하기 보다는 과학자 집단에 가깝다는 설명이다.
PCR 검사를 하기 위한 의료시설이 철저히 부족한 상황에서 “(보건소만으로 부족하면) 대학병원을 쓰면 되지 않느냐”라는 이야기가 나와도 후생성은 대학병원은 문부과학성(교육부) 소관이라며 협조 요청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닛케이는 “의료현장이 혼란스러웠던 것은 주지 없는 사실”이라고 일침한다. 사이타마 시장은 사이타마 보건소장에게 “병원에 사람이 넘쳐나는 것이 싫어서 PCR검사를 하지 않고 있다”라는 항의를 하기도 했다.
닛케이는 이같은 일본 행정부의 태도가 2002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2012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등을 거쳐 교훈을 살린 한국, 대만과 대조적이라고 지적했다.
이 매체는 이어 “전례와 기존 규칙에 매달려 눈앞의 현실에 대처하지 못하는 일본의 현실”이라며 “세계화와 디지털화로 변화가 빨라진 21세기에서 20세기형 관료들이 있는 일본은 세계에서 고립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